[로이슈 전여송 기자]
차바이오텍은 탯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활용한 퇴행성 요추 추간판으로 인한 만성 요통 세포치료제 'CordSTEM-DD'에 대한 임상 2a상 대상자 투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5일 밝혔다.
차바이오텍은 지난해 4월 임상 2a상 첫 환자 투여를 시작으로 총 30명의 대상자에게 ‘CordSTEM-DD’를 투여했다. 앞으로 1년간 추적 관찰하면서 ‘CordSTEM-DD’의 유효성을 확인할 계획이다.
2023년 상반기 중에 임상 2a상 주요 결과를 발표 후 이어서 임상 2b상 임상시험계획 승인신청서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할 계획이다. 국내 품목허가를 신청하고 기술수출, 해외 임상을 병행할 예정이다.
'CordSTEM-DD'는 염증을 완화하고 추간판을 재생해 만성 요통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세포치료제다. 줄기세포에 유전자 조작을 하지 않고, 연골분화를 촉진하는성장인자(TGF-β)를 고발현 하는 세포주를 사용해 약물의 안전성과 효용성을 강화했다.
특히 ‘CordSTEM-DD’는 차바이오텍이 자체 개발한 대량 배양기술과 동결기술을 활용해 세포의 유효기간을 대폭 늘렸다. 소량 생산에 따른 고가의 생산비용과 짧은 유효기간 등 비동결 제품의 단점을 보완해 상업화 가능성을 높였다. 또 처방 즉시 동결 보관 중인 제품을 해동해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어 환자와 의료진의 불편을 줄였다.
‘CordSTEM-DD’는 국내 최초로 ▲첨단바이오의약품 제조업 허가 ▲인체세포등 관리업 허가 ▲세포처리시설 허가를 모두 획득한 자회사 차바이오랩의 GMP제조 시설에서 생산되고 있다.
퇴행성 요추 추간판으로 인한 만성 요통은 노화나 퇴행으로 인해 척추 뼈 사이의 쿠션작용을 하는 디스크의 기능이 떨어져 허리에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3개월 이상 통증이 계속 될 경우 만성 요통으로 분류된다.
진통제 투약, 물리치료, 통증 차단술, 수술 등으로 통증을 관리하지만 근본적인 치료가 되지는 않는다. 또 수술의 경우 수술 후 합병증 및 재수술 가능성 등의 한계가 있어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퇴행성 허리디스크 환자는 해마다 약 200만명이 발생했는데, 이 중 10%의 환자가 진통제 등 기존 보존요법으로 치료되지 않는 만성 요통 환자로 추정된다.
‘CordSTEM-DD’는 2021년 9월 정부의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의 연구과제로 선정돼 연구비를 지원받고 있다. ‘CordSTEM-DD’가 상용화될 경우, 진통제 위주의 보존요법이 실패해 수술이 필요한 심각한 퇴행성 요추 추간판으로 인한 만성 요통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차바이오텍, ‘CordSTEM-DD’ 임상 2a상 투여 완료
기사입력:2022-04-25 22:11:2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450,000 | ▲386,000 |
비트코인캐시 | 531,000 | ▼2,500 |
이더리움 | 2,601,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60 | ▲170 |
리플 | 3,178 | ▲13 |
이오스 | 980 | ▲5 |
퀀텀 | 3,117 | ▲1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520,000 | ▲397,000 |
이더리움 | 2,603,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80 | ▲210 |
메탈 | 1,218 | ▲6 |
리스크 | 792 | ▲8 |
리플 | 3,175 | ▲9 |
에이다 | 991 | ▲1 |
스팀 | 21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570,000 | ▲410,000 |
비트코인캐시 | 531,500 | ▼1,500 |
이더리움 | 2,601,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50 | ▲190 |
리플 | 3,174 | ▲8 |
퀀텀 | 3,065 | 0 |
이오타 | 30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