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유통업계, 브랜드와 환상궁합 자랑하는 '워너비 모델' 발탁 잇따라
최근 유통업계가 MZ세대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이들의 ‘워너비(Wannabe)’를 잇달아 모델로 발탁하고 있다. 국내 소비 시장에서 큰 손으로 떠오른 MZ세대의 공감대를 쉽게 이끌어 내기 위함이다. 실제 우리나라 인구 중 32%를 차지하는 2030의 소비 구매력은 전체 시장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업계는 독특한 개성과 가치관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가수부터 스트리트 댄서, 배우는 물론 MZ세대 구독률이 높은 OTT서비스 내 콘텐츠 인기 스타 등을 모델로 내세우며 눈길을 끌고 있다.
코카-콜라는 최근 새로워진 코카-콜라 제로를 출시하며 가수 비비와 함께 제로의 특별한 짜릿함을 전하는 ‘#더할말ZERO(제로)’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가수 비비는 솔직하고 당당한 매력과 함께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없는 시그니처 스타일로 MZ세대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싱어송라이터다. 특히 가수 비비 본연의 독특함이 코카-콜라 제로의 독창적인 정체성과 부합하며 강력한 시너지를 낸다는 평이다.
이번에 가수 비비가 모델로 활약하고 있는 코카-콜라 제로의 ‘#더할말ZERO’ 캠페인은 새로워진 코카-콜라 제로와 함께 말이 필요 없는 짜릿함으로 즐겁고 경쾌한 일상을 보내자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가수 비비와 코카-콜라 제로가 만들어 내는 시너지는 현재 방영되고 있는 TV 광고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비비의 독특한 개성과 에너지 넘치는 매력을 통해 코카-콜라 제로의 말이 필요 없는 짜릿함이 힙하게 표현되고 있는 것. 여기에 비비 얼굴을 제외한 전체 화면이 감각적인 일러스트레이션 기법으로 구현돼 시각적 몰입도로 한층 높이고 있다.
오뚜기는 자사 라면 간판 제품인 '진라면'과 '열라면'의 신규 모델을 발탁해 새로운 광고를 선보였다. 지난해 연말, '진라면' 모델로 배우 남궁민을 내세워 '진라면이 라면의 진리'라는 콘셉트의 신규 광고를 공개했다. 남궁민의 부드러운 카리스마와 건강한 이미지가 '진라면 순한맛'의 장점을 살리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해 모델로 기용했다는 설명이다.
'열라면'에는 TV프로그램 '스트릿 우먼 파이터'로 인기를 얻은 댄스 크루 '웨이비'의 리더 노제를 모델로 발탁했다. 힙합 댄서 노제가 풍기는 아우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열라면'의 화끈한 맛을 생동감 있게 표현했다. '진라면'과 '열라면' 모두 매출 성장세를 기록하며 소비자의 호응을 얻고 있다.
넷플릭스 등 OTT(온라인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 서비스로 인기를 얻고 있는 '넷플릭스 스타'도 잇따라 모델로 발탁되고 있다.
코카-콜라사의 대표 RTD(Ready-To-Drink) 커피 브랜드 조지아가 부드러운 우유의 풍미와 크리미한 텍스처를 살린 '조지아 라떼니스타'를 출시하고 첫 모델로 대세 신인 배우 조이현을 발탁했다. 조이현은 작년 9월 종영한 '슬기로운 의사생활'에서 인턴 윤복 역으로 인지도를 쌓고 넷플릭스 인기 콘텐츠 '지금 우리 학교는'의 주연을 맡아 국내외에서 신인배우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다양한 캐릭터로 신선한 이미지를 보여주는 조이현 특유의 스윗하고 밝은 매력을 통해 '조지아 라떼니스타'의 부드러움과 달콤한 매력을 전할 예정이다.
닭가슴살 쇼핑몰 굽네몰이 굽네닭컴으로 새롭게 리뉴얼하고 이를 기념해 배우 김세정을 전속 모델로 발탁했다. 김세정은 SBS 드라마 '사내맞선'의 주인공으로, 넷플릭스에도 동시 공개되며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김세정의 밝고 사랑스러운 이미지와 건강미가 건강한 식단관리를 추구하는 브랜드 굽네닭컴과 잘 어울린다고 판단해 모델로 선정했다는 설명이다.
(주)클리오의 자연주의 브랜드 구달이 배우 박규영을 신규 브랜드 모델로 선정했다. 박규영은 tvN드라마 '사이코지만 괜찮아', '악마판사' 등에 출연하며 탄탄한 필모그래피를 쌓고 있는 대세 배우로,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 '스위트홈'에 출연하며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박규영의 밝고 건강한 에너지와 신뢰도 높은 이미지와 구달의 자연주의 가치관과 부합해 모델로 발탁했다는 후문이다.
브랜드만의 자체 캐릭터를 활용해 귀여운 매력을 뽐내고 있는 기업도 있다.
이마트24는 자체 캐릭터 '원둥이'를 통해 MZ세대와의 소통을 강화한다. '원둥이'는 이마트24 화성점을 크게 성공시키고, 지구에서 편의점을 경험해보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는 세계관을 지닌 캐릭터다. 이마트24는 '원둥이'의 재미있는 스토리텔링을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 콘텐츠화하며 다양한 이벤트를 이어갈 예정이다.
bhc치킨은 자사 캐릭터 '뿌찌(Pucci)'를 적극 활용해 캐릭터 마케팅을 활성화하고 있다. '뿌찌'는 bhc치킨의 인기 메뉴인 '뿌링클' 애호가면서 치즈볼 튀기기 달인인 캐릭터로, MZ세대와의 소통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지난해에는 성탄절 기념 '뿌찌' 굿즈를 선보이기도 했으며 최근 무료 배포된 '뿌찌X밍밍이' 이모티콘 5만 개는 출시 19분 만에 전량 소진되며 큰 호응을 얻었다.
SPC그룹이 운영하는 배스킨라빈스는 지난 3월 브랜드의 대표 특징인 '핑크스푼'을 모티브로 한 형제 캐릭터 '배리'와 '로빈'을 공개했다. '배리'와 '로빈'은 아이스크림으로 즐거움을 전파한다는 사명감을 가진 흥미로운 캐릭터다. 배스킨라빈스는 '배리'와 '로빈'의 생동감 있는 모습이 담긴 티저 영상을 공식 인스타그램과 유튜브 계정을 통해 선보였으며 앞으로 캐릭터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모션과 콘텐츠로 다양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버추어스 우마나이아 인터랙티브 투자 단행
선도적인 글로벌 게임 개발 회사인 버추어스 (Virtuos)가 캐나다 퀘벡의 촉망받는 게임 개발 스튜디오인 우마나이아 인터랙티브 (Umanaïa Interactive, 이하 우마나이아 "Umanaïa")에 대한 투자를 발표했다. 본 투자로 버추어스는 게임 및 IP 제작에 대해 탁월한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 현지 인재들과의 파트너십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야니스 말랫 (Yannis Mallat)과 스테판 카르댕 (Stephane Cardin)이 이끌고 있는 우마나이아는 현대적이고 혁신적인 라이브 게임을 제작하고 개발하며, 수 년 내에 첫 번째 타이틀 런칭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야니스 말랫 우마나이아 사장 및 공동 설립자는 20년 이상 경력의 게임 업계 전문가로, 스튜디오 운영 관련 풍부한 전문 지식을 겸비하고 있다. 창의성과 혁신성을 기반으로, 페르시아의 왕자 (Prince of Persia), 어쌔신 크리드 (Assassin's Creed), 레인보우 식스 시즈 (Rainbow Six Siege), 와치 독스 (Watch Dogs) 및 파 크라이 (Far Cry)를 비롯한 블록버스터 프랜차이즈에서 여러 팀을 성공적으로 이끈 바 있다. 스테판 카르댕 우마나이아 공동 창업자 및 제작 책임 또한 게임 제작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나루토 (Naruto), 페르시아의 왕자 (Prince of Persia)를 비롯한 유명 타이틀의 성공적인 출시와 여전히 수백만 유저의 사랑을 받고 있는 가장 큰 신규 IP 이자 게임 중 하나인 포 아너 (For Honor)의 제작을 맡았다.
버추어스의 이번 투자는 빠르게 성장하는 퀘벡의 게임 개발 환경과 기업 생태계에 대한 지원이라는 점에서 특히 의미가 있다. 우마나이아는 버추어스의 생산력과 전문성을 활용하면서 혁신을 추구하는 최고의 인재를 고용하여 조화로운 성장을 추진할 예정이다. 크리에이티브 팀은 이미 작업 중이며, 여러 유명 개발자가 새 스튜디오에 합류했다.
버추어스의 질 랑고유 (Gilles Langourieux) CEO는 “현재 퀘벡에서 가장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파트너 중 하나와 전도유망한 여정의 초기 단계부터 협력할 수 있어 자랑스럽다”라며 “몬트리올은 주요 게임 개발 허브로, 이번 투자를 통해 버추어스는 세계 정상급 인재와 협력하여 업계에서 선두적인 위치를 견지하고, 이와 동시에 우마나이아는 스튜디오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진지하고 풍부한 경험을 갖춘 파트너사를 가지게 될 것”이라며 취지를 밝혔다.
야니스 말랫 우마나이아 사장 및 공동 설립자는 “우리는 비디오 게임을 단순한 엔터테인먼트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고, 이로 인해 우마나이가가 개발자에게 더 특별한 기회가 되고 있다”라며 “스테판 카르댕과 함께 긍정적이고 진정한 목적이 있는 게임 제작을 위해 열정을 쏟고 있으며, 이를 위해 즐겁고 진취적인 스튜디오를 만들고 있다”라며 소감을 전했다.
스테판 카르댕 우마나이아 공동 창업자이자 제작 책임은 “버추어스와 함께 현대적인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우리의 비전을 공유하고 버추어스의 투자와 숙련된 팀으로 이뤄진 강력한 조합으로 우리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있게 되어 기쁘다”라고 덧붙였다.
◆닥터나우, 헬스케어 스타트업 ‘부스터즈 컴퍼니’ 인수
닥터나우(대표이사 장지호)가 헬스케어 스타트업 ‘부스터즈 컴퍼니’를 인수하며 김종상 대표를 닥터나우 최고제품책임자(이하 CPO)로 선임했다고 25일 밝혔다.
부스터즈 컴퍼니는 개인별 맞춤형 운동 콘텐츠를 제안하고 의료전문가를 통한 상담 및 관리를 지원하는 ‘건강비서’와 ‘클리닉’, ‘파인드’ 등의 디지털 헬스케어 앱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주목을 모았다.
닥터나우는 부스터즈 컴퍼니의 서비스 개발 역량과 노하우를 확보해 현재 운영 중인 비대면 진료 및 처방약 배송 서비스를 고도화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건강 관리에 관심이 높아진 이용자에게 더 나은 플랫폼 경험을 제공하고 만족도를 선사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이번 인수를 통해 닥터나우에 합류한 김종상 신임 CPO는 부스터즈 컴퍼니의 모든 서비스를 직접 기획, 운영한 창업가로, SK플래닛 데이터 애널리스트 경력을 거쳐 토스에서 프로덕트 오너를 역임했다.
특히 2020년 토스 재직 당시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서비스 론칭 및 월간 활성 이용자(MAU) 1,100만 건 달성 등 대규모 프로젝트와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낸 바 있다.
닥터나우 김종상 신임 CPO는 “비대면 진료와 처방약 배송이라는 전례 없는 새로운 혁신으로 의료 서비스의 패러다임을 전환한 닥터나우의 비전에 깊이 공감하여 합류를 결정했다”며, “고객 중심의 압도적인 서비스를 통해 헬스케어 전 분야를 아우르는 슈퍼앱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다”이라고 밝혔다.
닥터나우는 국내 최초로 비대면 진료 및 처방약 배송을 선보이며 경증 환자 및 만성질환자 등에게 효율적이고 편리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민 편익 기여 및 영향력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지난해 10월 소프트뱅크벤처스를 비롯해 새한창업투자, 해시드, 크릿벤처스 등 유수의 벤처캐피탈로부터 10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성공적으로 마친 바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유통 이슈] 유통업계, 브랜드와 환상궁합 자랑하는 '워너비 모델' 발탁 잇따라 外
기사입력:2022-04-25 11:16:2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61.24 | ▲4.63 |
코스닥 | 722.94 | ▲5.70 |
코스피200 | 339.09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019,000 | ▼116,000 |
비트코인캐시 | 533,000 | ▲3,000 |
이더리움 | 2,669,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720 | ▲170 |
리플 | 3,216 | ▲13 |
이오스 | 1,028 | ▲25 |
퀀텀 | 3,201 | ▲1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021,000 | ▼276,000 |
이더리움 | 2,669,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740 | ▲190 |
메탈 | 1,222 | ▲9 |
리스크 | 790 | ▲1 |
리플 | 3,216 | ▲13 |
에이다 | 1,037 | ▲14 |
스팀 | 21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0,100,000 | ▼70,000 |
비트코인캐시 | 533,000 | ▲4,000 |
이더리움 | 2,669,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780 | ▲250 |
리플 | 3,218 | ▲15 |
퀀텀 | 3,190 | 0 |
이오타 | 308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