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이슈] LF푸드 하코야, 프리미엄 ‘냉메밀소바 40’ 출시 外

기사입력:2022-04-12 14:21:45
[로이슈 편도욱 기자]

◆LF푸드 하코야, 프리미엄 ‘냉메밀소바 40’ 출시

종합식품기업 LF푸드(대표 김생규)의 라멘&돈부리(KATSU, NOODLE & DONBURI) 전문점 ‘하코야(HAKOYA)’가 메밀의 그윽한 맛과 향이 살아있는 프리미엄 메밀소바 ‘냉메밀소바 40’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지난해 약 19만개가 팔린 히트 상품 ‘하코야 냉메밀소바’의 프리미엄 버전으로, 메밀 함량 40% 이상의 생면을 사용해 씹을수록 메밀의 구수한 맛을 느낄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진한 쯔유에 가쓰오부시와 다시마, 멸치 등을 함께 우려내 깊고 진한 풍미를 가진 하코야 특제 육수와 간무와 생와사비, 가쓰오부시, 자른 김까지 풍성한 고명이 제품에 포함돼 있다.

메밀생면을 약 3분 40초 간 삶은 후 찬 물에 여러 번 헹궈 전분을 없앤 후에 살얼음 가득한 육수에 적시듯 찍어 먹으면 전문점 퀄리티의 일품 냉소바를 즐길 수 있다.

LF푸드 하코야가 여름 시즌을 겨냥해 선보이는 프리미엄 면요리 ‘냉메밀소바 40(709g, 2인분)’의 권장 소비자가격은 1만1900원이며, 마켓컬리에서 가장 먼저 만나볼 수 있다.

김병주 LF푸드 상품개발팀장은 “지난해 ‘하코야 냉메밀소바’가 큰 사랑을 받아 고객들께 새로운 미식 경험을 제안하기 위해 프리미엄 제품을 선보였다”면서 “간편식 이용 경험이 늘어난 소비자들이 컨셉과 특징이 명확한 제품을 선호하는 만큼 하코야는 앞으로도 일식 전통 레시피를 활용해 다채로운 메뉴를 선보이겠다”라고 말했다.

◆디딤, 프로야구 시즌 개막과 함께 인천문학경기장 푸드코트 운영 재개

코스닥상장사 글로벌 외식기업 디딤이 2022년 프로야구 시즌 개막과 함께 인천 문학경기장내 디딤푸드코트 운영을 재개한다.

이번 푸드코트는 기존 메뉴와 다른 캐쥬얼한 메뉴 구성으로 전격 개편 운영할 예정이다. 개편된 메뉴 구성은 1인 식사가 가능한 대표 메뉴 컵밥 5종(제육, 소불고기, 치킨마요, 꼬막비빔, 족발비빔)과 함께 간단한 간식거리인 떡볶이와 어묵 그리고 기타 핫도그, 소시지 등의 분식류 등이 있다.

푸드코트는 경기장 내 1루측 외야 바비큐존에 있으며, 1인 식사와 간단한 간식거리 이외에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도록 생고기 판매 및 전기 그릴 대여 서비스도 제공한다.

디딤 관계자는 “인천에서 시작한 기업인 디딤이 문학 경기장 내에 안정적으로 푸드코트를 운영하고 있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며, “스포츠 마케팅을 통해 고객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야구 경기장을 찾은 고객들에게 건강하고 맛있는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스페이셜, 한국의 NFT 아티스트 커뮤니티와 특별 전시회 개최

글로벌 메타버스 플랫폼 '스페이셜(Spatial)'이 국내 유수의 NFT 아티스트들이 소속된 예술 커뮤니티들과 함께 가상공간인 ‘스페이셜 파크(Spatial Park)’에서 특별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한국 NFT 아티스트’를 주제로 열리는 본 전시회는 오는 5월 초까지 약 한 달간 진행되며, K-Heritage, 로쏘공(Rossogong), Studio MBUS703, Salmon Labs, KOA(K’ARTS OPEN ARTIST) 등 총 5개의 국내 주요 예술 커뮤니티와의 협업을 바탕으로 기획됐다.

전시회에는 영화 ‘기생충’ 속 <다송이그림>의 작가로 잘 알려진 지비지(ZiBEZI)를 비롯해 한국, 프랑스 등을 기반으로 활동 중인 비주얼 아티스트 에스텔 소(Estelle So), 한국예술종합학교 최초 메타버스 아트 쇼케이스의 총괄 디렉터를 맡았던 전누리(LunyBaker) 작가 등 각 예술 커뮤니티에 소속된 유수의 아티스트들이 참여해 자신의 대표 작품들을 전시한다.

지비지 작가가 전시하는 대표 작품 중 하나인 ‘zibezi pink LA’는 지구 안의 모든 생명체의 관계성을 담아낸 작품으로, 작가만의 시그니처 캐릭터들과 톡톡 튀는 컬러감, 균형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 전통의 멋이 느껴지는 NFT 작품도 만나볼 수 있다. 동화나 신화, 설화 같은 이야기에서 주로 영감을 얻어 작업하는 에스텔 소 작가의 경우, 이번에 출품한 ‘용무늬 장막이 있는 책가도’에서 책과 학문을 가까이한 조선 당대 각계각층 사람들의 책거리 문화를 담아냈다. 붓, 두루마리, 과일 등 작품 속 사물에 담긴 의미를 발견하는 것도 작품을 즐기는 또 하나의 관전 포인트다.

이외에도 한복을 주제로 벚꽃이 흩날리는 봄을 표현한 니니(NINI) 작가의 ‘체리 블러썸 레인(Cherry blossom rain)’을 비롯해 동물의 귀여운 특징을 살려 표현한 이하인(LEEHAIN) 작가의 ‘닥스훈트’ 등 여러 세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작품들이 전시된다. 또한 스페이셜 파크에 마련된 각각의 포털을 클릭하면, 각 예술 커뮤니티의 자체 갤러리 공간으로 이동해 더 많은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전시회가 열리는 ‘스페이셜 파크’는 스페이셜에서 이용자들 간의 모임과 소통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지난해 12월 오픈한 가상공간으로서, 매월 정해진 주제에 맞춰 전시장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지난 7일에는 메타버스 전시에 관심이 있는 국내 NFT 아티스트 및 크리에이터들을 대상으로 클럽하우스에서 온라인 모임을 개최했으며, 오는 13일과 20일(한국시간)에도 트위터 스페이스를 통해 모임을 진행하는 등 더 많은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위한 접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스페이셜의 공동 창업자인 이진하 최고제품책임자(CPO)는 “한국이 전 세계의 문화 콘텐츠를 선도하는 가운데, K-POP 등 엔터테인먼트뿐만 아니라, 디지털 아트 분야의 유망한 국내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알리고자 전시를 기획하게 되었다”며, “이번 전시가 NFT와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매개체를 통해 한국 고유의 감성과 색깔을 전 세계에 알리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스페이셜은 아티스트와 크리에이터 중심의 메타버스 플랫폼으로서, 웹, 모바일 등을 통해 클릭 몇 번으로 간편하게 갤러리를 기획하고 전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041,000 ▼250,000
비트코인캐시 533,000 ▲500
이더리움 2,652,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4,360 ▲90
리플 3,213 ▲4
이오스 980 ▼1
퀀텀 3,166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110,000 ▼210,000
이더리움 2,657,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4,380 ▲120
메탈 1,217 0
리스크 790 ▼10
리플 3,215 ▲5
에이다 1,015 0
스팀 21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170,000 ▼160,000
비트코인캐시 535,000 ▲3,000
이더리움 2,656,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4,330 ▲20
리플 3,215 ▲3
퀀텀 3,102 0
이오타 296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