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제주도 분양 시장에서 대형 타입이 중소형보다 약 3.5배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제주도는 청약 경쟁률 집계가 시작된 2009년 이후 총 1만2790가구가 일반 공급됐다. 이에 9만3037명의 청약자가 몰렸고 평균 7.2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면적별 경쟁률을 보면 대형과 중소형은 약 3.5배 차이가 났다. 전용 85㎡가 넘는 대형 타입은 1453가구 일반 공급에 2만8555건이 접수돼 평균 19.6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반면 전용 85㎡ 이하 중소형 타입은 한 자릿수 경쟁률에 그쳤다. 1만1337가구 공급에 6만4482건의 청약이 접수돼 평균 5.6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연간 가격 변동률도 전용 85㎡ 초과 타입이 더 높은 편이다. 전국 평균적으로 중소형 가격이 더 빠르게 오르는 추세인 반면 제주도는 지난 2007년 대형 타입이 10.44% 상승률로 중소형(9.28%)을 앞서기 시작했다. 이후 대형은 2010년을 제외하고 2019년까지 10여년간 중소형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최근 2년간은 중소형 집값 상승률이 더 높게 나타나기도 했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해외 여행 대신 제주를 찾는 수요자들이 늘어난 데다 부동산 규제가 전국적으로 확대되자 소자본 투자자들이 비규제지역인 제주를 찾은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부동산투자이민제 금액 상향 조정에 대한 의견이 본격적으로 논의되자 대형 타입이 다시 강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실제 중소형은 가격 변동이 없었던 반면 대형은 2021년 12월 0.21%, 2022년 1월 0.28% 상승했다.여기에 올해 1월 부동산투자이민제 금액이 기존 5억원보다 3배나 높은 15억원으로 검토되고 있다는 소식에 제도 개편 전 제주 영주권을 획득하려는 외국인 큰 손 투자자들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부동산투자이민제를 바탕으로 성장한 제주 부동산 시장은 대형 타입 수요가 많았지만 공급이 이를 따라주지 못했다”며 “2009년부터 현재까지 대형 타입 공급량은 전체의 약 11%에 불과했지만 청약자수는 31%로 수급 불균형이 지속돼 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부동산R114 분양정보에 따르면 올해 제주에 2,741가구의 신규 물량이 공급된다. 이 중 대형 타입이 포함된 단지로는 ‘더샵 연동포레·더샵 노형포레’ 2개 단지, 총 120가구와 ‘제주 용담 공동주택’ 213가구, ‘한화 포레나 제주대정’ 503가구 등이 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제주도 청약 경쟁률, 대형이 중소형보다 3.5배 더 높아
기사입력:2022-02-23 11:59:5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68.73 | ▲26.99 |
코스닥 | 782.51 | ▲5.27 |
코스피200 | 428.50 | ▲4.0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7,299,000 | ▲354,000 |
비트코인캐시 | 779,000 | ▲5,500 |
이더리움 | 5,980,000 | ▲7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050 | ▲160 |
리플 | 3,954 | ▲49 |
퀀텀 | 3,021 | ▲2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7,427,000 | ▲597,000 |
이더리움 | 5,986,000 | ▲7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060 | ▲200 |
메탈 | 978 | ▲4 |
리스크 | 522 | ▲3 |
리플 | 3,958 | ▲50 |
에이다 | 1,168 | ▲11 |
스팀 | 177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7,310,000 | ▲410,000 |
비트코인캐시 | 781,000 | ▲8,500 |
이더리움 | 5,980,000 | ▲7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130 | ▲200 |
리플 | 3,955 | ▲50 |
퀀텀 | 2,995 | ▼45 |
이오타 | 265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