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JT저축은행(대표이사 최성욱)이 균형 잡힌 사업 포트폴리오와 고객 혜택을 강화한 다양한 금융 상품 제공을 바탕으로, 15년 출범 이후 총 자산 규모가 약 6배 늘어나며 수익성과 안정성을 고루 갖춘 대형저축은행으로 성장했다고 22일 밝혔다.
JT저축은행은 지난 2015년 SC저축은행 인수 시(2015년 1월) 약 3369억 원이던 총 자산 규모가 지난 1월 말 기준 약 2조 1500억 원으로 증가하며 출범 7년 만에 6배의 성장세를 기록해 대형 저축은행으로 성장했다.
이번 JT저축은행의 꾸준한 성장의 배경에는 고객 신뢰감을 얻은 것이 주효 한 것으로 풀이된다. 고객 신뢰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는 수신 상품 잔액 규모가 괄목할 만한 수준으로 성장했기 때문이다. 출범 당시 총 수신 금액(잔액 기준)은 2725억 원이었으나 현재(22년 1월 말 기준) 1조9122억 원 규모로 증가해 약 7배 가량 성장했다.
고객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자 ISA, 퇴직연금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공해온 점이 주효했다. 여기에 JT저축은행이 선보인 ‘JT점프업 저축예금’은 기존 상품과 달리 예치 기간이나 일정 수준의 잔액 유지 등 까다로운 조건이 없어 여유자금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파킹통장으로 인기를 끌면서 수신 증가에 이바지했다.
또한 균형 잡힌 여신 포트폴리오도 성장세의 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JT저축은행은 과거 SC저축은행 인수 당시 햇살론과 일반신용대출 등 일부 가계대출에 편중된 사업 구조를 바로 잡고자 다양한 노력을 추진해왔다. 기존 가계대출 상품에 대한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중금리 상품을 출시했으며, 지난 2016년에는 기업금융팀을 신설하는 등 사업 구조 조정에 집중해 현재(1월 말 기준) 기업과 가계대출의 비중은 5.5대 4.5로 균등히 성장 중이다.
특히 JT저축은행은 법정상한금리 인하 전, 업계 최초로 개인신용 신규 대출 금리를 연 20% 이하로 운용하면서 업계의 금리 인하를 유도하였으며, 1월 기준 개인신용 대출 평균 금리 연 13%대로 운용하고 있다
여·수신의 균형적 성장과 더불어 최근에는 탄력적인 조직개편을 통해 디지털 역량 강화를 추진 중이다. 혁신플랫폼사업팀을 신설해 토스, 카카오페이, 핀크, 시럽, 마이뱅크 등 혁신 금융사와의 제휴를 확대 중이며, 자동 심사 기능을 탑재한 모바일 즉시 대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이와 함께 데이터마이닝팀을 신설해 내부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여 더 많은 고객에게 보다 안전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량도 강화해가고 있다.
최성욱 JT저축은행 대표는 “출범 후 꾸준한 성장의 배경에는 경영 전략의 변화 뿐 아니라 고객 의 성원이 함께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디지털 서비스의 편의성이 나날이 중요해지는 이때 서비스 개선 뿐 아니라 대내외적 리스크 관리 역량을 더욱 강화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JT저축은행, 총자산 2조원 돌파로 대형사 궤도 안착…안정적 성장가도 주목
기사입력:2022-02-22 13:34:1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14.95 | ▲55.48 |
코스닥 | 784.24 | ▲5.78 |
코스피200 | 421.22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339,000 | ▲185,000 |
비트코인캐시 | 681,500 | ▲1,500 |
이더리움 | 3,553,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30 | ▼10 |
리플 | 3,138 | ▲2 |
퀀텀 | 2,729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263,000 | ▲114,000 |
이더리움 | 3,552,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10 | ▼10 |
메탈 | 940 | ▼3 |
리스크 | 529 | ▲1 |
리플 | 3,138 | ▲1 |
에이다 | 802 | ▲4 |
스팀 | 180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350,000 | ▲210,000 |
비트코인캐시 | 681,500 | ▲500 |
이더리움 | 3,552,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10 | ▼50 |
리플 | 3,139 | ▲1 |
퀀텀 | 2,734 | ▲7 |
이오타 | 218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