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성 의원, 5개 장애인복지시설단체 주요현안 정책 논의

기사입력:2022-02-11 23:10:27
[로이슈 안재민 기자] 이종성 의원(국민의힘, 비례대표)은 11일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한국장애인복지시설총연합회와 정책간담회를 갖고 이용자 중심 서비스 지원 강화 방안 등 다양한 장애인복지서비스 정책들을 논의했다.

간담회에는 한국장애인주간보호시설협회 최은미 회장, 한국정신재활시설협회 박미옥 회장,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조석영 회장,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최은광 대외협력실장,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 최종태 회장이 참석했다.

현재 보건복지부는 제5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 5개년 계획 수립을 통해 복지·건강 지원체계마련, 경제적 자립기반 강화, 사회참여 활성화, 권익 및 안전 강화, 교육·문화·체육 기회 보장 등 5대 분야를 중심으로 정책을 이행 중에 있다.

그러나 장애등급제 폐지, 장애인지역사회 통합돌봄, 탈시설 자립지원 등은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에 간담회에 참석한 5개 장애인복지설단체는 지역간 복지서비스 격차 문제 해소, 근로장애인 최저임금 지급 보전 등 문제 해결 정책을 제시했다.

먼저 한국장애인주간보호시설협회는 장애인복지서비스사업의 지방이양으로 인해 발생한 지역간 복지서비스 격차 문제를 지적하며,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 대한 지원 확대와 균등화를 위한 정책, 이용자정원에 비례한 인력 배치 및 명칭변경 등을 제안했다.

이어 한국정신재활시설협회는 지역사회내 정신장애인에 대한 통합지원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신장애인복지지원법 제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는 장애인 전담 민관협의체 설치 및 운영의무화, 정신장애인서비스 지원을 위한 장애인복지관내 정신건강사회복지사 배치 및 환경 구축, 기초자치단체 장애인복지관 설치 의무화 등을 제시하며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지원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의 필요성을 전했다.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는 근로장애인 최저임금 지급을 위해 정부가 근로장애인 임금의 일부를 보전하는 보충급여제도 도입, 현행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비율 1%를 3%로 확대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으며,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는 대책 없는 탈시설 관련 법안의 폐기와 올바른 거주서비스 법안의 마련, 탈시설 논의 이전 장애인주거대책, 직원고용대책, 자산대처방안 수립 마련 등을 제안했다.

한국장애인복지시설총연합회 단체들은 “코로나 확산으로 인한 대응 변경에서 장애인 관련 시설이 PCR검사 지원대상에서 배제되었다. 이에 장애인관련시설에서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라며, 코로나 관련 정책에서 장애인시설의 상황이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종성 의원은 “지금까지 관과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가 시행되면서 사회복지현장에서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진행에 미흡한 부분이 많았다.”라고 비판하며, “당사자 중심의 서비스 실현을 위해 현장의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이고 윤석열후보와 함께 제도개선 및 정책실현을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안재민 로이슈 기자 newsahn@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3.77 ▲13.83
코스닥 813.56 ▲0.59
코스피200 430.04 ▲1.99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63,000 ▲363,000
비트코인캐시 695,500 ▲1,500
이더리움 4,911,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30,690 ▼60
리플 4,465 ▼8
퀀텀 3,23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68,000 ▲371,000
이더리움 4,910,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0,710 ▼50
메탈 1,126 ▼3
리스크 680 ▲2
리플 4,471 ▼3
에이다 1,118 ▼4
스팀 21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00,000 ▲250,000
비트코인캐시 696,000 ▼2,000
이더리움 4,909,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30,690 ▼90
리플 4,467 ▼8
퀀텀 3,233 ▲15
이오타 292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