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이슈] 윌라, 서점가 베스트셀러 오디오북 7일 전권 출시 外

기사입력:2022-02-07 15:48:31
[로이슈 편도욱 기자] ◆윌라, 서점가 베스트셀러 <달러구트 꿈 백화점> 오디오북 7일 전권 출시

윌라가 이미예 작가의 <달러구트 꿈 백화점> 전권(1, 2권)을 7일 오디오북으로 출시했다.

윌라는 <달러구트 꿈 백화점> 오디오북 오픈과 함께 기념 이벤트를 준비했다. <달러구트 꿈 백화점> 오디오북 재생 화면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인증하면, 추첨을 통해 <달러구트 꿈 백화점> 1, 2권 세트를 증정한다.

이번에 공개된 오디오북은 2020년 서점별 ‘올해의 책’으로 선정될 정도로 오프라인에서 많은 사랑을 받은 작품이다. 당초 전자책 전용 도서로 출간됐으나 독자들의 성원으로 종이책에 이어 오디오북으로까지 발행되며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판타지 요소를 가득 담은 작품은 잠자리에 들어야만 입장할 수 있는 독특한 마을과 온갖 꿈을 한데 모아 판매하는 ‘달러구트의 꿈 백화점’이라는 설정으로 독자들에게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한다.

특히 윌라 시그니처 오디오북과 만난 달러구트 꿈 백화점은 한층 더 판타지 세계에 빠져들 수 있다. 그동안 수많은 작품을 통해 갈고 닦은 배경음, 연출력 등 윌라의 기술이 더해져 귀로 듣는 판타지물에 흠뻑 빠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오디오북에는 박지윤, 신범식, 김현욱 등 국내 최정상급 성우 3명이 각 역할을 맡아 열연을 펼쳤다. 박지윤 성우는 주인공 ‘페니’ 역을 맡았고, 신범식 성우는 꿈 백화점 주인 ‘달러구트’ 역을 맡아 낭독했다. 김현욱 성우는 꿈 제작자 콤비 ‘키스 그루어&척 데일’ 역을 연기했다.

윌라를 운영하는 인플루엔셜 문태진 대표는 “윌라가 준비한 시그니처 오디오북으로 모든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판타지를 감상할 수 있는 기회”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윌라는 각 분야의 베스트셀러를 오디오북으로 제작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기 웹소설 <용을 그리는 아이>를 비롯해 요나스 요나손의 <달콤한 복수 주식회사>, 어른을 위한 대화법 강의를 담은 <어른의 문답법> 등을 서비스하고 있다.

◆몬스타기어, 최초 유무선 세계 표준규격형 커스텀 키보드 PCB기판 ‘MG87’ 출시

커스텀 키보드 및 게이밍 기어 전문벤처기업 몬스타기어(대표: 이승재)가 세계 최초로 유무선 표준규격을 정한 커스텀 키보드 기판 ‘MG87’을 출시했다.

몬스타기어 MG87은 몬스타기어가 직접 설계 제작한 커스텀 키보드용 TKL기판으로 세계 최초로 유무선 표준규격을 정하여 거의 모든 공제 커스텀 키보드하우징에 맞게 설계되었으며 유무선 기능과 다양한 LED 효과를 지원하는 a87b 레이아웃 표준형 기판이다.

이 기판은 블루투스와 2.4GHz 무선 연결, 유선 연결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기에서 막힘 없이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이 뛰어난 카일 퀵스왑 소켓을 사용해서 간편하게 스위치를 교체할 수 있다.

여기에 2,500mAh 충전식 내장 배터리를 기본으로 제공해서 야외에서도 배터리 걱정 없이 사용 가능하다. 배터리는 타입C 케이블을 연결해 충전 가능하다. 또한, 유무선 상태 모두 RGB LED 사용이 가능하며, 언더글로우와 스위치 LED 모두를 지원해 다양한 하우징에 RGB LED 효과를 입힐 수 있다,.

전용 프로그램으로 키 변경과 매크로 등록이 가능한 점, 스페이스바 옆 스위치로 손쉽게 유무선 모드 전환이 가능한 점도 장점이다.

몬스타기어 관계자는 “커스텀키보드 생태계확장을 위해 꾸준히 새로운걸 연구개발하고 있으며 이번 몬스타기어 MG87 세계 표준형 기판은 나만의 색다른 유무선 커스텀 키보드를 제작하려는 기존유저를 위 해 새롭게 선보이는 세계 표준형 키보드 기판”이라며 “몬스타기어에서 세계 최초로 유무선 표준규격 사이즈를 확정하여 상시 생산판매한다”고 밝혔다.

◆윈스, 지난해 매출·영업이익 사상최대 기록

윈스가 통신 시장의 매출 확대 및 클라우드 관제 서비스의 매출 신장에 힘입어 3년 연속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윈스 (대표 김대연)는 7일 실적 발표를 통해 지난해 연결기준 연간 매출 964억, 영업이익 210억 원을, 별도기준으로는 매출 904억 원, 영업이익 200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7%, 영업이익은 12.0% 증가했고 별도기준 매출액은 1.3%, 영업이익은 9.5% 증가했다.

각 부문별 실적을 분석하면 솔루션 부문은 통신사에 공급된 100G 침입방지 시스템(IPS)가 전년대비 250% 증가하며 실적을 이끌었다.

윈스 관계자는 “작년 5G통신 시장의 성장과 함께 100G IPS(침입방지)의 판매량이 급증했으며, 국내외 5G시장의 설비투자 확대에 힘입어 본격적인 솔루션 공급을 통해 올해도 100G IPS의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더불어 올해는 내수시장으로 그간 공공·통신 시장에 비해 부진했던 일반 기업 시장에 영업력을 확대하고, 수출시장으로서 일본 외의 다양한 글로벌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보안 서비스 부문은 국내 공공 클라우드 1위 통신사와의 협업을 통해 클라우드 관제 매출이 지난해에 이어 40% 이상 증가한 것을 포함해 전체 서비스 매출이 전년대비 15% 이상 증가했다.

윈스는 클라우드 기반 제품 및 AI·빅데이터 활용한 보안 플랫폼을 연내 출시할 계획이다. 또한 美 크라우드 스트라이크(Cloud Strike)와 상호 협력을 진행하고 클라우드 MSP(Mgt. Service Provider)사업을 확대하는 등 보안 서비스 부문을 통해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갈 방침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775,000 ▼224,000
비트코인캐시 527,500 ▼1,500
이더리움 2,604,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3,930 ▼110
리플 3,165 ▼14
이오스 970 ▼1
퀀텀 3,120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897,000 ▼208,000
이더리움 2,605,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3,940 ▼130
메탈 1,205 ▼3
리스크 787 ▼7
리플 3,168 ▼12
에이다 995 ▼1
스팀 21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850,000 ▼220,000
비트코인캐시 528,000 ▼1,000
이더리움 2,605,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3,880 ▼200
리플 3,166 ▼15
퀀텀 3,102 0
이오타 296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