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LH가 임인년(壬寅年) 새해 첫 ‘혁신위원회’를 열고 올해 경영계획 전반에 대해 점검했다.
LH는 4일 서울지역본부에서 김준기 LH 혁신위원회 위원장, 김현준 LH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1차 LH 혁신위원회’를 개최했다.
LH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서는 3기 신도시, 2.4대책 등 정부정책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2022년 LH 업무계획 논의와 함께 ‘ESG(환경·사회·지배구조)’에서의 대대적인 혁신을 통해 지속가능경영체계를 구축하고, 국민의 신뢰를 확고히 하기 위한 LH ESG 경영체계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LH는 올해도 국민신뢰 회복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하고 ▲성공적 정책 수행 ▲강력한 경영혁신 ▲지속가능경영 강화 등 3대 부문의 14개 중점 추진과제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성공적 정책 수행을 위해 3기신도시, 2.4대책 등의 주택 공급시기를 최대한 앞당기고, 도심 내 청년주택 확대 등을 통해 맞춤형 주거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캠퍼스혁신파크 등 균형발전사업을 확대해 국민 주거안정에 기여하고, 경제 활성화에도 앞장선다.
또 강력한 경영혁신을 위해 설계공모, 심사 체계를 고도화하는 등 부패근절 제도를 지속적으로 마련・강화하고, 장래 10년간의 공급계획을 제공하도록 ‘LH집어디‘(bizmap.lh.or.kr)를 개편하는 등 고객중심의 대국민 서비스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지속가능경영 강화를 위해 국민 안전 최우선 업무원칙을 설정 및 국민의 안전사고 예방에 적극 앞장서고, 국민의 의견을 사업과 경영 전반에 반영하기 위한 소통채널도 다양화한다는 구상이다.
이와 함께 LH는 올해 사업비 투자를 대폭 확대하고 역대 최대 규모의 주택공급을 통해, 국민 주거안정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공공임대 10만호, 공공분양 2만6000호, 사전청약 2만5000호 등 LH 자체 공급 15만호와 함께 LH 공공택지를 활용한 민간 사전청약 3만2000호 등 총 18만호 이상을 공급해 부동산 시장 안정을 뒷받침하고, 공공기관 최대인 약 40조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코로나19로 침체된 지역경제와 건설 산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밖에도 LH는 국민의 요구와 국내외 기준 등을 반영한 LH ESG 경영전략을 마련하고, 전담조직을 신설하는 등 ESG 경영체계로 발 빠르게 전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LH는 전문위원회와 전담조직을 신설했다. 지난해 11월 ESG 경영체계로의 전환을 위해 이사회 내 ESG 전문위원회를 구성하고, 올해 1월에는 조직개편으로 사장 직속의 ESG추진단을 신설했다.
LH 김현준 사장은 “올해는 국민신뢰 회복을 위한 중대한 전환점이 되는 첫해가 될 것”이라며 “3기신도시, 2.4 대책 등 정부 주택공급 확대 정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은 물론, ESG 중심으로 경영체계를 대대적으로 전환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공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준기 위원장은 “ESG는 인류가 당면한 아주 중요한 어젠다로, 지속가능한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피할 수 없는 과제다”며 “ESG 경영전략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내부 직원의 의식전환이 무엇보다 중요하니, 경영진이 적극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LH, 새해 첫 ‘혁신위’ 개최…경영계획 전반 점검
기사입력:2022-02-04 14:34:1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75.77 | ▼7.46 |
코스닥 | 800.47 | ▲2.77 |
코스피200 | 428.0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705,000 | ▲113,000 |
비트코인캐시 | 703,500 | ▲1,500 |
이더리움 | 4,020,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950 | 0 |
리플 | 3,809 | ▲19 |
퀀텀 | 3,06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542,000 | ▼31,000 |
이더리움 | 4,017,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940 | ▼40 |
메탈 | 1,070 | ▼13 |
리스크 | 602 | ▼7 |
리플 | 3,809 | ▲23 |
에이다 | 979 | ▲3 |
스팀 | 197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9,660,000 | ▲110,000 |
비트코인캐시 | 704,000 | ▲3,500 |
이더리움 | 4,019,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940 | ▲10 |
리플 | 3,809 | ▲19 |
퀀텀 | 3,115 | 0 |
이오타 | 260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