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타워크레인 사고 원인은 ‘작업절차 미준수, 장비점검 소홀’

기사입력:2021-12-22 16:54:04
남양주 타워크레인 사고 전경.(사진=국토안전관리원)

남양주 타워크레인 사고 전경.(사진=국토안전관리원)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김영삼 기자] 국토안전관리원(박영수 원장)은 지난 10월 14일 경기도 남양주시 공동주택 신축공사장에서 발생한 타워크레인 사고는 작업절차 미준수, 장비점검 및 관리 소홀 등이 원인으로 밝혀졌다고 22일 밝혔다.

이 사고는 타워크레인의 높이를 연장하던 작업 중 철골구조물인 ‘마스트’가 추락하면서 작업자 2명이 함께 추락하여 사망한 경우였다. 사고 후 관리원은 자체사고조사위원회(이하‘사조위’)를 구성하여 공사 관련 자료 검토, 현장방문 등 2주간의 조사를 벌였다.

관리원은 설치 및 운영 시 위험도가 높아 추락 등의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타워크레인과 관련해서도 보다 적극적으로 사고원인을 규명하고 유사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지난 2월부터 사조위를 운영하고 있다.

사조위의 조사 결과 타워크레인 등 위험 작업 시는 관리책임자가 작업 방법, 안전장치 작동상태 등을 점검하도록 한 규정이 지켜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타워크레인 설치 전에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인허가기관에 승인을 받도록 한 절차도 무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밖에도 작업자가 안전관리계획서에 의한 작업 방법 및 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은 사실을 비롯해 작업 전 설치장비에 대한 점검 소홀, 안전대걸이 체결 위치 부적정 등도 드러났다. 특히 마스트의 이동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인 스토퍼락핀 2개 중 한 개가 망실되고 나머지 하나도 제대로 체결하지 않아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 점도 드러났다.

사조위는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타워크레인 설치 전 안전관리계획 수립 및 승인절차 준수, 작업자를 대상으로 한 작업 방법 및 안전교육, 건설장비의 자재 및 안전장치 점검 등이 철저히 이행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박영수 원장은 “이번 사고는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아서 발생한 후진국형 사고”라며 “조사 결과를 발주청과 인허가기관 등에 통보하여 유사사고 재발 방지와 안전교육에 활용토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01,000 ▼299,000
비트코인캐시 704,000 ▼4,000
이더리움 4,014,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5,010 ▼30
리플 3,797 ▼46
퀀텀 3,084 ▲9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415,000 ▼370,000
이더리움 4,014,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4,990 ▼70
메탈 1,095 ▲21
리스크 619 ▲14
리플 3,795 ▼50
에이다 979 ▼12
스팀 19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10,000 ▼110,000
비트코인캐시 703,500 ▼4,000
이더리움 4,014,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4,960 ▼70
리플 3,795 ▼45
퀀텀 3,092 ▼23
이오타 261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