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차병원 전홍재ㆍ김찬 교수팀 "위암 환자 고 내피 세정맥 많을수록 재발률 ↓"

기사입력:2021-12-09 18:38:00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암센터 혈액종양내과 전홍재 교수(좌), 김찬 교수(우). 사진=분당차병원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암센터 혈액종양내과 전홍재 교수(좌), 김찬 교수(우). 사진=분당차병원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여송 기자]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원장 김재화)은 9일 본원 암센터 혈액종양내과 전홍재ㆍ김찬 교수팀은 위암 조직의 독특한 혈관 구조인 고 내피 세정맥(HEV)이 위암 면역 상태를 구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 면역항암치료학회(SITC)의 공식학술지인 종양면역치료저널(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 IF 13.751) 최신호에 게재됐다.

국내 암 발병율 1위를 차지하는 위암은 환자 20-30%만 면역항암제에 치료 반응을 보인다. 항암면역 반응은 암세포를 공격하는 킬러세포인 T세포 존재 여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암 조직 내 T세포의 양에만 초점을 맞춰 왔으며 T세포 침윤 패턴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전홍재ㆍ김찬 교수팀은 위암 진단 후 수술 받은 환자 460명을 대상으로 위암 조직 내의 T세포 침윤 패턴과 고 내피 세정맥을 분석해 T세포 침윤 후 위암 조직 내부의 면역반응을 크론 유사 림프구 반응(CLR), 종양 주변 부위 림프구 반응(PLR), 종양 내부 림프구 반응(ILR)의 세 가지로 분류했다. 이와 함께 고 내피 세정맥 주위에 CD8 T세포와 CD4 T세포가 집중적으로 밀집되어 있고, 면역 자극 유전자가 현저히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T세포가 암세포 공격을 위해 종양 내부로 침투할 때 고 내피 세정맥이 진입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고 내피 세정맥이 많은 위암일수록 T세포 침윤 패턴에 관계없이 수술 후 재발률이 낮고, 전체 생존기간도 길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고 내피 세정맥이 많을수록 면역학적으로 유리한 환경이 조성돼 위암 치료에도 좋은 예후를 가지게 될 것으로 예측했다.

분당차병원 혈액종양내과 전홍재 교수는 “고 내피 세정맥(HEV)이 많은 위암 환자일수록 면역반응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면역항암치료에 잘 반응하는 위암 환자를 선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찬 교수는 “고 내피 세정맥은 면역세포가 암세포 침투하기 위한 진입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한만큼 진입로를 늘리는 표적치료제가 개발된다면 면역항암치료의 내성을 극복하는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87,000 ▼103,000
비트코인캐시 689,000 ▼500
이더리움 4,054,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5,080 ▼10
리플 3,843 ▼23
퀀텀 3,155 ▲2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58,000 ▼92,000
이더리움 4,047,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5,070 ▼20
메탈 1,076 0
리스크 606 ▲3
리플 3,846 ▼24
에이다 1,008 ▼7
스팀 199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40,000 ▼120,000
비트코인캐시 690,000 0
이더리움 4,053,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5,120 ▲20
리플 3,843 ▼22
퀀텀 3,153 ▲16
이오타 296 ▲2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