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위니아딤채는 지난달 30일 한국소비자단체연합(약칭 한소연, 회장 조태임)과 한국제품안전학회(회장 윤동열)가 공동 주최한 ‘가전제품안전컨퍼런스’에 참여해 소비자 대상 ‘김치냉장고 보유 실태조사’와 ‘제품안전 및 리콜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자발적 리콜 대상 제품의 실질적 잔량은 9만대 안팎이 될 것으로 추산했다고 9일 밝혔다.
앞서 위니아딤채는 278만대 리콜 제품 중 선 리콜 조치 및 화재 발생이 거의 없었던 20년 전 생산 제품 및 60리터급 소형 제품을 제외하면 산술적으로 남은 리콜 잔량은 전체 수량의 20% 수준인 약 60만대로 추정했었다.
위니아딤채는 그동안 한국소비자원과 협력해 진행해오던 딤채 무상점검 활동을 지난해 말부터는 국가기술표준원 주관으로 자발적 리콜을 연중 실시하고, 이후 전국 지자체와 협력해 대대적인 ‘리콜 김치냉장고 찾기 운동’으로 확대했다. 그 결과 전국적으로 리콜 대상 제품을 올해에만 26만대를 발굴 및 조치를 완료했다.
한소연과 함께 지난 9~10월에 실시한 전국 22,064 가구를 대상으로 ‘김치냉장고 보유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84.4%가 김치냉장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리콜 대상이나 미조치 상태로 사용중인 리콜 제품은 총 156대(0.71% 비중)로 조사됐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총 가구(약 1852만) 중 김치냉장고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약 1563만)에 리콜 접수율(0.71%)을 적용한 11만대와 외국인가구와 1인 가구를 제외한 가구(1073만)에 리콜 접수율을 반영한 수치 7만대의 평균치를 계산하면 실질적 리콜 잔량은 9만대 안팎이 될 것으로 분석했다.
조경형 위니아딤채 대외협력담당 상무는 “올해 총 26만대의 리콜 제품을 적극적으로 발굴 및 조치할 수 있도록 협력해 주신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소비자원 및 전국 지자체, 소비자 단체 등 주요 관계기관에 감사하다”며, “소비자 안전을 위한 공동의 역할이라는 데 뜻을 함께하고, 나아가 ESG경영 실천의 일환으로서 실질적 잔량으로 추정하는 약 9만대 안팎의 리콜 제품까지도 조속히 조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기업사회활동]위니아딤채, 장기 사용 김치냉장고 자발적 리콜
기사입력:2021-12-09 09:29:5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8.40 | ▲1.79 |
코스닥 | 721.44 | ▲4.20 |
코스피200 | 338.67 | 0.0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127,000 | ▼363,000 |
비트코인캐시 | 530,500 | ▲1,000 |
이더리움 | 2,635,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00 | ▼90 |
리플 | 3,182 | ▼19 |
이오스 | 1,055 | ▲25 |
퀀텀 | 3,165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164,000 | ▼345,000 |
이더리움 | 2,636,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30 | ▼80 |
메탈 | 1,205 | ▲2 |
리스크 | 779 | ▼3 |
리플 | 3,183 | ▼17 |
에이다 | 1,022 | ▼2 |
스팀 | 21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090,000 | ▼350,000 |
비트코인캐시 | 530,500 | ▲1,000 |
이더리움 | 2,635,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10 | ▼190 |
리플 | 3,182 | ▼18 |
퀀텀 | 3,170 | 0 |
이오타 | 30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