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차병원 노종렬 교수팀, 내성 두경부암 세포 성장 억제 치료법 개발

기사입력:2021-12-06 19:10:32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이비인후과-두경부외과 노종렬 교수. 사진=분당차병원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이비인후과-두경부외과 노종렬 교수. 사진=분당차병원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여송 기자]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원장 김재화)은 본원 이비인후과-두경부외과 노종렬 교수팀은 대표적 항암치료제인 택솔(taxol)에 내성을 보이는 두경부암의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기초 암연구 분야를 선도하는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익스페리멘탈 앤 클리니컬 캔서 리서치'(Journal of Experimental & Clinical Cancer Research, IF: 11.161) 11월호에 게재됐다.

두경부암은 후두암, 구강암, 인두암 등 머리와 목 부위에 생기는 암으로 외과적 수술, 항암화학치료, 방사선 치료 등의 치료법이 있으나 절제술이 불가능한 경우 5년 생존율이 10% 이하로 치료가 쉽지 않다. 두경부암에 효과적인 항암치료제로 알려져 있는 택솔(taxol)도 항암 치료의 저항성 유발로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노종렬 교수팀은 두경부암 중 택솔에 내성을 보이는 세포를 확인하고, 택솔에 저항성을 보이는 두경부암 세포(PCC)를 이식한 동물 모델에 관절염 치료제로 사용하는 설파살라진(sulfasalazine) 약물을 주입했다. 그 결과 암세포에 많이 발현되는 PGRMC1 단백질이 세포막 지질을 산화시켜 세포 내 철분에 의존하는 세포를 죽이는 페로토시스(Ferr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고, 저항성 암세포가 사멸되는 치료효과를 확인했다.

이비이인후과-두경부외과 노종렬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두경부암을 비롯한 난치성 고형암에서 페로토시스를 이용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확인했다”며 “페로토시스를 이용하면 세포자멸사(apoptosis)를 회피하는 난치성 암 치료에 더욱 효과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노종렬 교수는 2014년 국내 최초로 페로토시스 관련 연구를 시작해 난치성 고형암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에 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노 교수는 Redox Biology (IF 11.799), Theranostics (IF 11.556) 등 20편 이상 유수한 해외저널에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페로토시스를 일으키는 기타 약제를 이용한 치료법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643.79 ▲35.37
코스닥 734.58 ▲2.70
코스피200 352.60 ▲5.43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907,000 ▼17,000
비트코인캐시 573,500 ▲1,000
이더리움 3,719,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8,920 ▲90
리플 3,591 ▲3
이오스 1,223 ▼5
퀀텀 3,601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899,000 ▲155,000
이더리움 3,713,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8,890 ▲90
메탈 1,269 ▲2
리스크 814 ▲4
리플 3,592 ▲8
에이다 1,147 0
스팀 22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5,870,000 ▲70,000
비트코인캐시 573,000 ▲1,500
이더리움 3,717,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8,890 ▲110
리플 3,590 ▲5
퀀텀 3,615 ▼23
이오타 353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