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한국로슈(대표이사 닉 호리지)는 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의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3탄’에 참여해 ▲황반변성 질병 진행 조기 발견 ▲척수성 근위축증 증상 모니터링을 통한 질환 관리 과제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안한 국내 스타트업 총 5개사를 수상팀으로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은 ‘대기업의 과제에 스타트업이 해결사로 나선다’는 취지 아래 대기업은 스타트업의 아이디어나 기술을 활용하고, 스타트업은 대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지원과 함께 성장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중소벤처기업부의 개방형 혁신 환경 조성 사업이다. 한국로슈는 바이오헬스 대표기업으로 ‘대스타 3탄 - 자율주행과 바이오헬스 분야’에 참여했으며, 그 외에도 구글, GE헬스케어, 마이크로소프트, 셀트리온 등 11개사가 총 13개의 과제를 제시했다.
한국로슈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 ▲황반변성 질병 진행 조기 발견 ▲척수성 근위축증 증상 모니터링을 통한 질환 관리 과제를 제시했다. 이 가운데 기술경쟁력, 사업화방안, 구체적 성장전략 등을 고려해 황반변성 프로젝트에는 랩에스디(1위), 픽셀로(2위), 척수성 근위축증 프로젝트에는 엑소시스템즈(1위), 인엘(2위), 엠셀(3위) 스타트업이 선정됐다.
황반변성 과제에서 대상을 수상한 랩에스디는 디지털 검안기로 눈 안쪽을 촬영하는 안저검사를 통해 진단과 모니터링을 보조하고, AI를 활용한 임상결정지원 시스템을 제안했다. 최우수상을 수상한 픽셀로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를 활용해 황반변성 질환 정보를 비대면으로 제공하며, 지속적으로 눈 건강을 살피고 관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했다.
척수성 근위축증 과제에서 대상을 수상한 엑소시스템즈는 AI 학습 알고리즘이 비자발적 근수축신호를 기반으로 근기능을 평가해 질병 상태 및 약물 반응 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시했다. 뒤이어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여 영상 기반 움직임 정도를 평가하고 인공지능을 통해 질병상태를 분석 및 평가하도록 힌 인엘, 움직임 센서가 코팅된 스마트 의류를 활용해 사용자의 움직임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질병 상태를 평가하도록 한 엠셀이 각각 최우수상, 우수상 팀으로 선정됐다.
특히 '척수성근위축증' 과제에서 참여기업 멘토링 및 우수기업 선정에 참여한 양산부산대병원 신경과 신진홍 교수는 “요원하기만 하던 희귀신경근육질환 치료제 개발이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반면, 치료 효과의 평가는 고전적인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운동 기능의 객관적인 평가는 치료 효과의 모니터링은 물론, 나아가 더 나은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반자료가 된다.”며 “국내 디지털헬스케어 스타트업들의 뛰어난 역량이 로슈의 새로운 시도, 협업과 함께 디지털 운동 기능 평가에서도 앞서 나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전세계 신경근육질환 환자들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한국로슈, ‘대스타 해결사 플랫폼’ 수상기업 발표
기사입력:2021-12-06 10:53:5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65.54 | ▲8.93 |
코스닥 | 722.74 | ▲5.50 |
코스피200 | 339.55 | ▲0.81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931,000 | ▼127,000 |
비트코인캐시 | 532,000 | 0 |
이더리움 | 2,658,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50 | ▼70 |
리플 | 3,207 | ▼6 |
이오스 | 1,022 | ▼6 |
퀀텀 | 3,180 | ▼1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890,000 | ▼248,000 |
이더리움 | 2,655,000 | ▼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70 | ▼90 |
메탈 | 1,215 | ▼7 |
리스크 | 786 | ▼3 |
리플 | 3,206 | ▼8 |
에이다 | 1,027 | ▼13 |
스팀 | 215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890,000 | ▼210,000 |
비트코인캐시 | 532,000 | ▼1,000 |
이더리움 | 2,658,000 | ▼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690 | ▼120 |
리플 | 3,206 | ▼8 |
퀀텀 | 3,190 | 0 |
이오타 | 30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