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설비 자동예측진단 기술 상품화 추진

기사입력:2021-11-29 20:04:53
[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 이하 한수원)이 세계 최대 규모의 빅데이터/인공지능 기반 설비 자동예측진단시스템의 상품화에 나선다.

한수원은 자동예측진단시스템의 상품화 추진을 위해 ‘프로메테우스’로 상표명을 출원하고, 지난 26일 PTC코리아와 상품 홍보 및 마케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자동예측진단시스템의 국내외 홍보 및 판매 촉진을 위한 글로벌 세일즈 마케팅에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한수원은 2019년부터 국내 가동원전 주요 회전설비 1만 4000여대에 대한 24시간 상태감시 및 자동예측진단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이 모델을 활용한 빅데이터/인공지능 기반 자동예측진단시스템은 설비의 이상 징후를 사전에 탐지, 진단해 불시고장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한수원은 통합예측진단 센터를 구축하고 올 4월부터 시범운영중이며, 시범운영 동안 22건의 발전소 설비결함을 사전 감지하고 고장을 예방하는 등 기술의 성능을 입증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수원은 원전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설비진단 및 운영능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빅데이터/인공지능 기반 자동예측진단시스템’은 ▲머신러닝 기반 터빈/펌프 등 회전설비 자동상태진단 ▲딥러닝 기반 발전기·변압기 등 전력설비 열화상 자동상태진단 ▲현장 측정데이터 자동오류판정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빅데이터/인공지능 기반의 설비 예측진단 모델로는 세계 최대 규모로, 발전설비 현장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진단모델이라는 점에서 기존 전문가의 경험에 의존하는 룰베이스(Rule Base) 진단 모델과 차별화된 기술 상품이다.

전혜수 한수원 디지털혁신추진단장은 “PTC코리아와의 전략적 기술 협력으로 IoT와 AR 기반의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예측진단기술의 국내외 시장에서 상품화 판로 확대를 위한 환경이 조성돼 원전 운영의 안전성을 끌어올리고, 한수원의 원전 수출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953.76 ▼72.69
코스닥 876.81 ▼21.36
코스피200 557.98 ▼10.4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311,000 ▲237,000
비트코인캐시 721,000 ▲2,000
이더리움 4,863,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4,310 ▲340
리플 3,275 ▲18
퀀텀 2,701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366,000 ▲300,000
이더리움 4,873,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300 ▲320
메탈 648 ▼2
리스크 282 ▼1
리플 3,276 ▲24
에이다 794 ▲1
스팀 11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360,000 ▲360,000
비트코인캐시 724,000 ▲5,000
이더리움 4,867,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4,290 ▲350
리플 3,277 ▲22
퀀텀 2,681 ▼46
이오타 195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