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텔도 양극화 심화…아파트 닮은 ‘주거용’이 대세

기사입력:2021-11-02 14:47:31
대전 도안 센트럴 아이파크 투시도.

대전 도안 센트럴 아이파크 투시도.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올해 오피스텔 분양시장에서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소형 오피스텔은 대체로 고전을 면치 못하는 반면, 아파트를 닮은 주거용 오피스텔은 청약 완판은 물론 매매 가격까지 크게 상승하는 모양새다.

올해 전국에서 공급된 오피스텔을 살펴보면, 청약 경쟁률 상위 3개 단지가 모두 전용면적 59㎡ 이상으로 구성된 단지였다. 가장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는 ‘동탄2신도시 동탄역 디에트르 퍼스티지’(82.92대 1)는 전용 75~84㎡로 공급됐고, 뒤 이은 ‘시티오씨엘 4단지’(75.12대 1)도 전용 75~84㎡ 규모로 분양했다. 3위를 기록한 ‘평택 고덕신도시 유보라 더크레스트’(62.43대 1) 역시도 전용 59~84㎡로 구성됐다. 반면 청약 경쟁률 하위 10개 단지는 모두 전용 40㎡ 미만의 소형 오피스텔이었다.

같은 단지라도 면적에 따라 청약 경쟁률이 크게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올해 3월 인천에서 공급된 ‘씨티오씨엘 3단지’ 오피스텔의 경우, 전용 27㎡의 청약 경쟁률은 1.73대 1을 기록한데 반해 전용 84㎡는 10.5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업계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소형 오피스텔 공급 물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매물이 쌓여 가고 있는 상황이라 신규 분양 시장에서도 많은 단지들의 미분양이 이어지고 있다”며 “반면 주거용 오피스텔은 공급 물량 대비 수요가 많고 최근 2030세대의 주거 대안책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데다 시세차익까지 누릴 수 있는 상품으로 인식되면서 인기가 높다”고 전했다.

부동산114 통계 자료 기준 최근 3년간 전국에서 공급된 오피스텔 물량의 72.5%가 전용 40㎡이하 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매매가격 상승률도 차이가 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오피스텔 매매가격 지수 통계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전용 40㎡이하 오피스텔의 상승률은 전달 대비 0.16%p로 가장 낮았고, △40㎡초과 60㎡이하 0.65%p △60㎡초과 85㎡이하 1.16%p △85㎡초과 1.72%p로 면적이 클수록 매매가격 상승률이 높았다.

개별 단지로 살펴봐도 주거용 오피스텔의 매매가격 상승세가 크다.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천안 불당 지웰시티 푸르지오 2단지’의 경우 전용 84㎡ 오피스텔이 지난해 10월 최고 3억8000만원에 거래된데 이어 올해 10월 5억원에 거래돼 1년 새 1억2000만원의 시세 상승을 보였다. 바로 인접한 A 오피스텔의 전용면적 23㎡가 지난해 9월 1억원에서 올해 10월 9000만원으로 하락한 것과는 비교되는 모습이다.

이러한 가운데 전국 곳곳에서 주거용 오피스텔이 공급을 준비 중에 있어 눈길을 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대전광역시 도안2-1지구 준주거용지에서 주거용 오피스텔 ‘대전 도안 센트럴 아이파크’를 11월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최고 26층, 5개동, 전용 84㎡ 단일면적 총 377실 규모로 구성된다.

현대건설은 경기도 파주시 운정신도시에 짓는 ‘힐스테이트 더 운정’을 이달 선보일 계획이다. 지하 5층~지상 49층, 13개동, 총 3413가구(아파트 744가구, 주거형 오피스텔 2,669실)규모로 건립된다. 이 중 오피스텔을 우선 분양할 예정이다.

대우건설은 지난달 서울시 영등포구에 조성되는 ‘신길 AK 푸르지오’ 사이버 견본주택을 열고 분양에 나섰다. 단지는 지하 5층~지상 24층, 5개동 규모로 도시형 생활주택 296세대, 오피스텔 96실 총 392세대와 근린생활시설로 조성되는 주상복합 단지다.

GS건설은 대구광역시 서구에서 ‘두류역 자이’ 오피스텔을 공급 중이다. 단지는 지하 4층~지상 49층, 7개동 규모로 아파트 1300가구와 오피스텔 86실로 구성된 복합시설이며, 이 중 전용면적 84㎡로 구성된 오피스텔 86실을 우선 분양에 나섰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342,000 ▲834,000
비트코인캐시 535,000 ▲7,000
이더리움 2,659,000 ▲41,000
이더리움클래식 24,350 ▲200
리플 3,217 ▲29
이오스 982 ▲7
퀀텀 3,174 ▲2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361,000 ▲669,000
이더리움 2,662,000 ▲42,000
이더리움클래식 24,360 ▲190
메탈 1,220 ▲6
리스크 789 ▼3
리플 3,216 ▲27
에이다 1,018 ▲11
스팀 21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370,000 ▲760,000
비트코인캐시 537,000 ▲8,500
이더리움 2,659,000 ▲40,000
이더리움클래식 24,400 ▲250
리플 3,217 ▲27
퀀텀 3,102 0
이오타 296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