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LS전선, 대만 2,000억 해저케이블 수주
LS전선은 해상풍력 건설업체인 CDWE(CSBC-DEME Wind Engineering)社로부터 2,000억원 규모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하이롱 해상풍력단지에 2025년까지 해저케이블을 공급한다고 6일 밝혔다.
이로써 LS전선은 지금까지 발주된 대만 해상풍력단지 사업의 초고압 해저케이블 공급권을 모두 따내게 됐다. 총 수주 금액은 약 8,000억원에 이른다.
하이롱 해상풍력단지는 대만 내 최대 규모 해상풍력단지 중 하나이다. 대만 서해안으로부터 약 50여 km 떨어진 해역에 조성, 원전 1기에 해당하는 약 1GW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캐나다 노스랜드파워(Northland Power)社와 싱가포르 위산에너지(Yushan Energy)社 등이 공동으로 개발하고, CDWE는 해저케이블 등 주요 자재와 설비를 공급, 시공한다.
한편, LS전선은 최근 강원도 동해시 사업장에 약 1,900억원 규모의 추가 설비 투자 계획을 발표하는 등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투자도 이어가고 있다.
◆유진로봇, 가이아 지분 매각하고 밀레와 로봇사업 집중
유진로봇이 가이아코퍼레이션 지분 매각을 통해 로봇사업에 모든 역량과 자원을 집중한다.
자율주행 솔루션 전문 1세대 로봇기업인 유진로봇(대표 박성주)은 기존 가이아의 지분 50.25%를 가이아에 매각했다고 6일 밝혔다. 2010년에 설립된 가이아는 유아용품 및 장난감 판매를 사업 목적에 둔 회사로 2015년 11월 유진로봇에 의해 인수되었다.
이번 가이아 매각의 목적은 경영 효율화와 로봇사업의 집중에 따른 사업 안정성을 촉진하고, 로봇 핵심기술과 글로벌 사업 확장을 위한 회사의 자원 집중을 통해 기업가치를 효율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유진로봇은 재무구조를 개선시키고 흑자전환을 위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부채 감소 효과로 인한 연결 재무제표상 부채비율도 개선될 전망이다.
박성주 유진로봇 대표는 “이번 매각은 경영 효율화를 위한 계획된 절차로, 세계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 솔루션 기술력을 보유한 유진로봇이 본격적인 글로벌 솔루션 제공기업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런 활동들이 기업가치와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임을 믿는다”고 말했다.
◆포스코케미칼, 중소 협력기업 ESG 경영 지원
포스코케미칼은 10월 5일 기업신용평가사 이크레더블과 ‘협력기업 ESG 경영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은 포스코케미칼 김주현 기획지원본부장과 협력기업인 한승케미칼 김상수 대표, 이크레더블 김진옥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화상으로 이뤄졌다.
포스코케미칼은 협력기업의 ESG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준 진단, 경영 컨설팅, 역량 강화 프로그램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이는 예산과 인력의 부족으로 ESG 경영 도입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고 공급망 전반에 걸친 ESG 역량 강화를 통해 사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먼저 포스코케미칼은 이크레더블이 개발한 평가 모델을 적용해 협력사의 ESG 역량을 체계적으로 진단한다. 주요 협력기업을 대상으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 분야의 역량 평가를 진행하고, 신규 공급사 등록시에도 관련 리스크를 검증할 예정이다.
평가 항목은 총 50개로 온실가스 배출, 친환경 자재 사용 등 환경 분야 15개와 안전 투자, 윤리경영 등 사회 분야 25개, 특수관계 거래, 사회적 평판 등의 지배구조 분야 10개로 구성되어 있다. 평가에 소요되는 비용은 포스코케미칼이 전액 지원한다.
포스코케미칼은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협력기업이 ESG 경영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법무, 환경, 안전, 재무, 노무 등의 관련 부서와 전문 인력이 역량강화 계획 수립을 돕고 컨설팅과 경영 자문을 제공할 계획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산업 이슈] LS전선, 대만 2,000억 해저케이블 수주 外
기사입력:2021-10-06 11:52:2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0.45 | ▼11.84 |
코스닥 | 818.04 | ▼0.23 |
코스피200 | 430.28 | ▼1.36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4,135,000 | ▲1,393,000 |
비트코인캐시 | 700,000 | ▲9,500 |
이더리움 | 4,910,000 | ▲11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760 | ▲660 |
리플 | 4,908 | ▼37 |
퀀텀 | 3,270 | ▲2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4,177,000 | ▲1,353,000 |
이더리움 | 4,916,000 | ▲12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780 | ▲690 |
메탈 | 1,117 | ▲4 |
리스크 | 635 | ▲3 |
리플 | 4,918 | ▼33 |
에이다 | 1,166 | ▲8 |
스팀 | 20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4,180,000 | ▲1,520,000 |
비트코인캐시 | 699,500 | ▲9,000 |
이더리움 | 4,912,000 | ▲1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770 | ▲700 |
리플 | 4,911 | ▼37 |
퀀텀 | 3,264 | ▲40 |
이오타 | 336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