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월드콘은 해마다 스포츠 스타들이 출현하는 광고를 통해 명실상부 우리나라 대표콘으로의 면모를 보여준다.
특히 올해는 월드콘 광고모델로 국민 배구여제 김연경을 발탁, 큰 호응을 얻었다. 김연경 선수는 남녀노소 모두에게 사랑받는 세계적인 스포츠 스타여서 월드콘 이미지와 잘 어울린다. 또한 월드콘 광고모델로 여자 스포츠 스타가 주인공으로 발탁된 것도 올해가 처음이어서 의미가 더욱 컸다.
국내 아이스크림 시장 간판스타 월드콘은 지난해의 경우 코로나19로 인해 과자시장 전체가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도 콘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제품이다. 월드콘이 지난 한해 거둔 실적은 약 700억원(닐슨기준)에 육박, 20여년간 지켜온 콘시장 1위 자리는 그대로 굳건히 지켰다.
월드콘은 1986년 3월 출시되어 올해로 35년째를 맞고 있다. 월드콘이 출시부터 지난해 말까지 거둔 판매실적은 약 1조 5,700억원에 달한다. 이를 개수로 환산하면 약 29억개가 된다. 판매량을 일렬로 늘어 놓을 경우 길이가 약 652,500Km에 달하는데, 이는 지구 둘레를 16.3 바뀌 이상 돌 수 있는 양이다.
월드콘은 출시 2년만인 1988년부터 콘시장 전체에서 판매 1위를 차지했다. 여세를 몰아 1996년부터 현재까지 우리나라 빙과시장 전체에서 톱 자리를 지키고 있다.
월드콘이 우리나라 대표급 아이스크림이 된 것은 출시부터 현재까지 변함없이 추구하는 맛, 크기, 디자인 등 품질이 빼어나기 때문이다.
월드콘은 1986년 시판 당시부터 크기와 가격 면에서 경쟁 제품과 비교가 안될 정도로 철저한 차별화 전략을 실시해 왔다. 당시 경쟁 제품들과 비교해 육안으로 확연히 차이 날 정도로 크기를 키웠다. 또 맛과 향, 감촉에 있어도 경쟁제품에 비해 더 고소하고 향긋하며, 부드럽고 감칠맛 나도록 했다.
디자인에 있어도 적색과 청색이 대비를 이루며 독창적인 컬러로 시선을 끌었다. 여기에 별 문양, 강렬한 로고체 등을 통해 월드콘 고유의 이미지를 견지해 왔다.
월드콘의 빼어난 구조는, 아이스크림 위에 땅콩 등을 뿌리고 그 위에 다시 초콜릿으로 장식을 하여 모방할 수 없는 맛의 조화를 연출해 낸다는 점이다. 뿐만아니라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토핑을 맛깔스럽게 했다는 점도 돋보인다. 또 아이스크림을 감싸고 있는 콘 과자가 아이스크림으로 인해 눅눅해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바삭거리며 고소한 맛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과자 안쪽에 초콜릿을 코팅하였다.
월드콘만의 차별화된 디자인도 월드콘의 정통성을 이어가는 요소이다. 그동안 월드콘은 아이덴티티의 모티브로 붉은색 컬러, 와일드한 로고타입, 별 문양 등을 채택하며 발전시켰고, 그런 가운데도 새롭고 신선한 이미지를 불어 넣기 위해 변화를 추구해 왔다.
월드콘은 소비자의 입맛을 고려해 매 시즌마다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맛을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올해는 가장 대중성이 높고 친숙한 마다가스카르 바닐라, 초코를 비롯해 새롭게 선보인 쿠키앤크림, 까마로사딸기 등을 운영하고 있다.
판촉활동도 적극 전개하고 있다. 롯데제과는 공격적인 광고 마케팅을 통해 판매량을 전년대비 두 자리 수 이상 늘린다는 계획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콘 시장 1위 ‘월드콘’, 콘 시장 1위, 5여년간 판매량 늘어 놓으면 약 65만 km
기사입력:2021-08-25 15:30:4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08.42 | ▲1.09 |
코스닥 | 731.88 | ▲6.48 |
코스피200 | 347.17 | ▲0.9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944,000 | ▼416,000 |
비트코인캐시 | 576,000 | ▼3,500 |
이더리움 | 3,746,000 | ▼4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030 | ▼380 |
리플 | 3,639 | ▲29 |
이오스 | 1,240 | ▼6 |
퀀텀 | 3,64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798,000 | ▼373,000 |
이더리움 | 3,746,000 | ▼4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020 | ▼380 |
메탈 | 1,287 | ▲1 |
리스크 | 817 | ▼1 |
리플 | 3,638 | ▲33 |
에이다 | 1,165 | ▼1 |
스팀 | 228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930,000 | ▼340,000 |
비트코인캐시 | 576,000 | ▼3,000 |
이더리움 | 3,747,000 | ▼4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080 | ▼340 |
리플 | 3,640 | ▲30 |
퀀텀 | 3,624 | ▼2 |
이오타 | 35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