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중소형 ‘틈새평형’의 주거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사회적 변화로 가족 구성원이 감소하면서 주거공간의 규모보다는 효율성을 중시하는 주택 수요자가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국내 주민등록인구는 5,167만명으로 지난해보다 약 12만명이 줄었다. 이러한 인구 감소 속에 평균 세대원 수는 2.2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다. 이와 함께 전통적 가족 단위였던 ‘4인 세대’ 비율도 14.8%로 통계 조사가 시작된 이후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러한 가족 단위의 변화는 주택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동안 건설사들은 국민평형이라고 불렸던 전용 84㎡의 공급에 주력했지만, 최근에는 전용 59㎡ 이상 79㎡ 이하인 중소형 ‘틈새평형’의 비중을 높이는 추세다. 높은 집값에 부담을 느낀 주택 수요자들이 단순한 공간의 크기보다는 실속을 중시할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 세대 비율 높아지고, 수도권 및 지방 청약 인기 ‘우수’
실제 청약시장에서 틈새평형의 인기도 높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6월 경기 의정부시에서 분양한 ‘의정부역 월드메르디앙 웰라시티’는 총 76세대를 모두 전용 71~72㎡로 구성했다. 그 결과, 1,025건의 청약접수가 신청돼 평균 13.5대 1의 청약경쟁률로 전 주택형 1순위 마감에 성공했다.
지방에서도 비슷한 모습이 연출되고 있다. 같은 달 대전에서 분양한 ‘목동모아엘가 그랑데’는 총 316세대 중 220세대(69.6%)를 전용 60~70㎡대의 평형으로 선보였다. 그 결과, 특별공급을 제외한 158세대 모집에 4,646건의 청약접수가 몰려 29.4대 1의 청약경쟁률로 전 세대 1순위 해당지역 청약마감을 달성했다.
◆ 중소형 ‘틈새평형’ 선보이는 새 아파트 어디?
SK에코플랜트㈜는 대구에서 8월 중 ‘달서 SK VIEW’(이하 달서 SK뷰)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단지는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위치하며 전용 59~102㎡ 총 1,196세대 규모 대단지다. 구체적으로 △59㎡ 521세대 △74㎡ 217세대 △84㎡ 400세대 △102㎡ 58세대 등이며, 이 중 전용 59㎡ 487세대, 74㎡ 39세대 등 526세대가 일반분양될 예정이다. ‘달서 SK뷰’는 올해 12월 개통 예정인 서대구역 수혜가 기대된다. 이와 함께 대구시청 신청사가 오는 2024년 착공을 앞두고 있어 기대감이 높다.
동부건설은 8월 중 경기 여주에서 ‘여주역 센트레빌 트리니체’를 분양할 계획이다. 단지는 모든 세대를 중소형 틈새평형으로 구성했다. 경기도 여주시에 자리하며, 전용면적 66~76㎡ 404세대로 구성된다. 이 중 176세대가 일반 분양될 예정이다.
경기 수원에서는 경기도시공사가 시행하고, 현대건설이 시공하는 ‘힐스테이트 광교중앙역 퍼스트'가 8월 중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단지는 수원시 영통구 일원에 위치하며 전용 60~84㎡ 총 211세대 규모다. 이 가운데 전용 60~69㎡가 107세대로 절반 가량이다.
대전에서는 코오롱글로벌이 9월 중 ‘대전 하늘채 엘센트로’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대전광역시 중구 일대에 위치하며, 전용 39~84㎡ 총 474세대 규모다. 이 가운데 전용 59·74·84㎡ 304세대가 일반 분양될 예정이다. 특히 74㎡가 213세대로 일반 분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인구절벽 속 주택시장…중소형 ‘틈새평형’ 전성시대
평균 세대원 수 2.22명 역대 최저, 사회적 변화 속 ‘틈새평형’ 인기넓은 공간보다 실속 챙기는 전용 59㎡ 이상~79㎡ 이하 비율 증가 기사입력:2021-08-18 14:16:1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228,000 | ▼813,000 |
비트코인캐시 | 525,000 | ▼5,000 |
이더리움 | 2,662,000 | ▼2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290 | ▼230 |
리플 | 3,216 | ▼24 |
이오스 | 988 | ▼3 |
퀀텀 | 3,154 | ▼2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266,000 | ▼770,000 |
이더리움 | 2,666,000 | ▼2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00 | ▼160 |
메탈 | 1,215 | ▼2 |
리스크 | 789 | ▼2 |
리플 | 3,214 | ▼26 |
에이다 | 1,013 | ▼8 |
스팀 | 21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9,160,000 | ▼920,000 |
비트코인캐시 | 524,000 | ▼5,500 |
이더리움 | 2,663,000 | ▼2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10 | ▼190 |
리플 | 3,214 | ▼26 |
퀀텀 | 3,155 | 0 |
이오타 | 304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