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용모 기자] 가덕도신공항반대시민행동은 최근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의 가덕도 방문으로 활주로 개수에 대한 논란이 다시 일고 있고 있는 가운데 7월 28일 "그래서 가덕도 신공항의 활주로는 도대체 몇 개인가?"라는 제목의 논평을 냈다.
지난 7월 23일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가덕도에 방문했다. 이 대표는 ‘가덕도 신공항이 제 구실을 하려면 활주로가 3개는 돼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최근 가덕도 신공항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피력했다가 논란이 되자 이를 진화하기 위해 부산을 찾아 위와 같은 발언과 함께 신공항 지원을 약속한 것이다.
앞서 7월 6일 국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는 “지금 정해진 것은 활주로 하나에 장-단거리 국제선 공항이다”, “비용 얘기가 많이 나오니 비용을 줄이려는 고민만 한 것”, “무안공항꼴 나지 않아야 한다. 하려면 제대로 해야 한다”며 불명확한 가덕도 신공항 계획에 문제를 제기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이 통과되기 전인 2월 초에도 국토부 보고서를 통해 드러난 바 있다.
보고서에는 ‘국제선만 옮길 경우에는 12조 원, 국내선까지 옮기면 15조 원, 군 공항까지 모두 이전하려면 28조 원이 넘는 비용이 들 것’이라는 내용과 함께 국제선만 옮기는 것은 비효율적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준석 대표의 발언과 마찬가지로 제대로 된 동남권 관문공항 기능을 하려면 활주로가 3개는 필요하고 국제선, 국내선, 군 공항까지 모두 옮겨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부산, 울산, 경남 지자체와 여야 관계자들은 크게 반발하며 ‘활주로 1본에 7조 5천억 원’이면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안전한 공항’을 만들자며 2002년 돗대산 중국 민항기 추락사고를 무수히 소환했던 사람들이 국제선만 옮기고 국내선과 군 공항은 그대로 두자는 모순적인 주장을 서슴지 않았다. 당시 부산시 홈페이지에는 ‘김해공항은 언제 사고가 나도 이상하지 않은 위험한 공항’이라는 주장이 버젓이 올라와 있었다.
논평은 "자가당착의 막무가내식 계획에 대해 특별법까지 만들어가며 밀어붙이는 것이 과연 정상적인 국가사업의 진행 절차라 할 수 있을까. 상식적인 문제 제기를 했던 국토부 장관은 대통령의 ‘가덕도 앞바다 선상 질책’ 앞에 머리를 숙였고, 야당대표는 가덕도까지 찾아와 반대한 것은 아니라는 변명을 늘어놓았다"고 적시했다.
부산 각지에 붙은 가덕도 신공항 광고를 보면 신공항의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 88조 9420억 원, 부가가치유발 37조 2318억 원, 취업유발 53만6453명’이라고 한다. 부산의 경제활동 인구가 172만 명인데 공항 하나의 취업유발 효과가 53만 명이 넘는다는 것이다. 여기에 작은 글씨로 ‘공항건설, 공항운영, 항공운송, 여객여행, 접근(연결)교통망 구축, 배후도시개발 등’이라는 단서가 달려있다. 부산시가 주장하는 7조 5천억의 비용에는 추가 교통망 건설이나 배후도시개발 비용 등이 포함되어 있는가. 불리한 것은 감추고 유리한 것은 부풀린 허위과장 광고가 시민들의 눈과 귀를 어지럽히고 있다는 것이다.
가덕도신공항반대시민행동은 "그래서 가덕도 신공항을 밀어붙이는 이들에게 다시 한 번 묻는다. 도대체 가덕도 신공항의 활주로는 몇 개인가? 그리고 거기에 들어가는 비용은 얼마인가? 천문학적인 금액의 국비가 투입될 사업이 왜 아직도 안개 속에서 실체를 보이지 않는가? 대한민국 백년대계라는 미래 사업이 왜 이렇게 의문과 모순 투성이인가? 아무도 실체를 설명할 수 없는 이 사업에 대해서 어떻게 사전타당성 조사를 간소화하고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하자고 할 수 있는가? 어떤 공항을 짓는지도 모르는데 그것이 타당한지는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회피하지 말고 숨기지 말고 거짓없이 답하는 것이 먼저다"라고 강조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가덕도신공항반대시민행동 "그래서 가덕도 신공항의 활주로는 도대체 몇 개인가?"
기사입력:2021-07-28 11:27:48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09.86 | ▲41.13 |
코스닥 | 798.02 | ▲15.51 |
코스피200 | 433.89 | ▲5.39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6,396,000 | ▼960,000 |
비트코인캐시 | 778,000 | ▼4,000 |
이더리움 | 6,252,000 | ▼1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260 | ▼30 |
리플 | 4,075 | ▼49 |
퀀텀 | 4,353 | ▲2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6,430,000 | ▼739,000 |
이더리움 | 6,257,000 | ▼10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310 | 0 |
메탈 | 987 | ▼8 |
리스크 | 531 | ▼6 |
리플 | 4,080 | ▼43 |
에이다 | 1,202 | ▼15 |
스팀 | 187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6,390,000 | ▼920,000 |
비트코인캐시 | 779,500 | ▼500 |
이더리움 | 6,250,000 | ▼1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360 | ▲150 |
리플 | 4,076 | ▼47 |
퀀텀 | 4,373 | ▲51 |
이오타 | 268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