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미국소맥협회(강창윤 한국대표)는 북반구지역의 밀 생산국가들이 수확시즌에 돌입하면서 밀 선물시세(*CBOT, KBOT)가 전년대비 34∼40% 상승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재 더 큰 이슈는 선물가격보다 미국 밀 현물가격의 급격한 상승세가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밀 주요 밀 산지인 PNW(Pacific North West) 지역과 북부평원지역 그리고 캐나다 남부지역에 기록적인 폭염과 건조한 날씨가 지속됨에 따라 백맥(제과용)과 강맥(제빵용)의 작황피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미국산 백맥의 현물가격은 전년동기 대비 62% 상승하였고 강맥 역시 40% 가까이 상승하였다. 선물가격도 6월 현재 각각 34%, 52% 상승한 상태이다.
미국소맥협회 관계자는 “이에 더해 미국 밀 재고량 감소 및 추가적인 가격상승 기대에 따른 생산자들의 판매지연 등이 미국산 백맥과 강맥의 현물가격 상승을 더욱 부추기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상황은 단기간에 호전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미국을 비롯하여 캐나다, 호주 등 주요 수출국의 밀 가격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 6월30일 미 농무성 발표에 따르면 미국의 대두, 옥수수, 밀의 재고량은 전년대비 각각 44%, 18%, 18% 감소하였으며, 대두와 옥수수, 밀의 파종면적은 전년대비 각각 5%, 2%, 5% 상승하였으나 시장 예상치를 하회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미국과 캐나다 기록적인 고온건조 날씨로 작황피해 심각’ 미국 ‘밀 현물시세’ 폭등
기사입력:2021-07-05 10:38:0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37.94 | ▲9.32 |
코스닥 | 731.50 | ▼6.85 |
코스피200 | 353.37 | ▲2.5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5,647,000 | ▼508,000 |
비트코인캐시 | 508,000 | ▼1,500 |
비트코인골드 | 4,238 | ▲34 |
이더리움 | 2,964,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800 | ▼140 |
리플 | 3,617 | ▼36 |
이오스 | 840 | ▲4 |
퀀텀 | 3,389 | ▼1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5,653,000 | ▼513,000 |
이더리움 | 2,960,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800 | ▼170 |
메탈 | 1,159 | ▼6 |
리스크 | 834 | ▼4 |
리플 | 3,619 | ▼33 |
에이다 | 1,065 | ▼10 |
스팀 | 204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25,640,000 | ▼350,000 |
비트코인캐시 | 508,000 | ▼500 |
비트코인골드 | 3,740 | 0 |
이더리움 | 2,963,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830 | ▼90 |
리플 | 3,619 | ▼31 |
퀀텀 | 3,397 | ▼36 |
이오타 | 274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