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중국 철강 시장 업황이 원자재 가격 안정화 조치로 인해 단기적으로 업황 모멘텀 둔화가 불가피할 것이란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하이투자증권 김윤상 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원자재 가격 안정화 조치 이후 중국 업황 점검' 보고서를 31일 공개했다.
현재 중국 정부의 강한 원자재 가격 안정화 조치가 이어지고 있는 상태다. 이같은 조치는 투기적 수요에 대한 관리 감독 강화 및 중국 내 공급을 늘려 수급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윤상 연구원은 "이 같은 중국 정부의 긴박한 움직임은 인플레이션 가속화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 때문이다"이라며 "원자재 급등으로 건설업체의 구매 지연 및 중소형 철강 가공 업체들의 실적 악화 등 인플레이션에 따른 수요 둔화 움직임이 최근 표면화 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5 월 들어 판재류 재고가 증가세로 전환하는 등 유통 재고 감소 폭이 역시 둔화되고 있는 상태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실효성 유무를 떠나 가격 안정화 조치를 수행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인 것.
김윤상 연구원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 중국 내수 업황 모멘텀 둔화는 일정 불가피하다"라며 "수요 둔화는 물론, 최근 유동성 흐름 역시 둔화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중국 정부의 계속되는 안정화 조치 발표로 인한 선물 시장의 투기적 수요 위축 역시 간과할 수 없다"라며 "이 같은 중국 업황 모멘텀 둔화는 동남아 등 아시아 권역에 일정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원자재 가격 안정화 조치 이후 중국 철강시장 업황은?
기사입력:2021-05-31 07:34:5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77.27 | ▼2.21 |
코스닥 | 722.52 | ▼7.07 |
코스피200 | 341.49 | ▲0.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082,000 | ▲131,000 |
비트코인캐시 | 578,500 | ▲500 |
이더리움 | 3,272,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810 | ▼70 |
리플 | 3,294 | ▼3 |
이오스 | 1,224 | ▲6 |
퀀텀 | 3,497 | ▲19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070,000 | ▲190,000 |
이더리움 | 3,269,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800 | ▼60 |
메탈 | 1,265 | ▲5 |
리스크 | 769 | ▲1 |
리플 | 3,294 | ▼1 |
에이다 | 1,090 | ▲1 |
스팀 | 219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4,060,000 | ▲70,000 |
비트코인캐시 | 578,500 | 0 |
이더리움 | 3,273,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6,730 | ▼120 |
리플 | 3,296 | ▼2 |
퀀텀 | 3,493 | ▲21 |
이오타 | 33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