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심준보 기자] NHN이 11일 'NHN Cloud 사업전략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통합 클라우드 솔루션‘NHN Cloud’의 2021년 사업전략을 발표했다. NHN은 이날 클라우드 사업의 신규 브랜드인 ‘NHN Cloud’를 공개했다.
NHN은 지난 2014년 통합 클라우드 솔루션 ‘TOAST’를 출시했다. 이후 현재 120여 개 인프라 및 플랫폼 상품을 제공하며, 3,000여 곳의 기업 고객을 확보,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공급 중이다.
NHN은 2025 까지 연간 매출 1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히고, 이를 위한 △글로벌 서비스,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데이터 & AI의 3대 전략을 발표했다.
2019년 일본(3월)과 북미(8월)에서 클라우드 리전 서비스를 시작한 NHN Cloud는 향후 각 지역 MSP(Managed Service Provider)를 중심으로 글로벌 역량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NHN의 북미법인인 NHN 글로벌은 올해 1월, AWS 프리미어 파트너인 클라우드넥사(Cloudnexa)를 인수했다. 필라델피아에 본사를 둔 클라우드넥사는 2008년부터 AWS 파트너로, 2013년부터는 AWS 컨설팅 파트너 최고등급인 프리미어 컨설팅 파트너로 활약하고 있는 기업이다.
NHN 일본 법인 역시 NHN 클라우드 서비스와 더불어 AWS의 TOP5 MSP 업체로 성장했으며, NHN 은 지역별 MSP를 중심으로 NHN 클라우드의 글로벌 서비스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NHN은 권역별 데이터센터 구축을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 확장에 주력한다. 자체 기술력으로 설계·구축한 친환경 도심형 데이터센터 ‘판교 NCC(NHN Cloud Center)’ 외에 경남 김해와 광주에 데이터센터를 구축 중이다.
글로벌 서비스를 고려해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춘 경남 김해 데이터센터는 판교의 4배 규모로 준비 중이며, 제조 데이터 플랫폼을 통한 스마트 공장 고도화, 설비 예측 보수, 불량 검출, AI 솔루션 구축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스마트 제조 및 스마트 시티의 핵심 데이터센터로 2021년부터 활용될 전망이다.
NHN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준비해 온 데이터 솔루션 사업도 글로벌 시장 진출을 준비중이다.
NHN의 통합 데이터 솔루션 다이티(Dighty)는 데이터를 통해 고객과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데이터의 가치를 높이는 통합 데이터 플랫폼으로, ▲흩어진 데이터를 통합하여 다양한 분석과 인사이트를 발굴하는 Dighty Audience Manager, ▲개인화된 디지털 사용자 경험을 기업 맞춤으로 제공하는 Dighty Campaign Manager, ▲3천만 ADID와 3억 쿠키 기반의 실데이터를 기반으로 트렌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Dighty Data Market 으로 구성된다.
NHN ACE 이진수 대표는 “비즈니스 활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측정하고 수집하며, 흩어진 데이터를 통합하여 활용할 준비를 하는 것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출발”이라며, “누적된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기업과의 세일즈 네트워크 협력 등을 통해 중장기적 글로벌 사업을 본격 확장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NHN 김동훈 전무는 “NHN Cloud의 핵심 가치는 ‘오늘을 만드는 기술’로 지금, 현재에 뿌리를 내려 살아 숨 쉬는 IT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NHN Cloud는 누구나 일상 속에서 쉽게 만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인프라 환경을 지원하고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NHN, 클라우드 사업전략 간담회 개최... 신규 브랜드 ‘NHN Cloud’ 공개
기사입력:2021-03-11 19:01:1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090,000 | ▼431,000 |
비트코인캐시 | 532,500 | ▼15,000 |
이더리움 | 2,624,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20 | ▼170 |
리플 | 3,143 | ▼16 |
이오스 | 1,025 | ▼6 |
퀀텀 | 3,147 | ▼2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065,000 | ▼564,000 |
이더리움 | 2,625,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10 | ▼190 |
메탈 | 1,186 | ▼14 |
리스크 | 782 | ▼21 |
리플 | 3,144 | ▼14 |
에이다 | 992 | ▼7 |
스팀 | 216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8,020,000 | ▼530,000 |
비트코인캐시 | 532,000 | ▼16,000 |
이더리움 | 2,624,000 | ▼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430 | ▼170 |
리플 | 3,145 | ▼15 |
퀀텀 | 3,160 | 0 |
이오타 | 30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