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로 협착, 풍선확장술로 1시간 내 치료 가능

기사입력:2021-03-10 22:27:06
[로이슈 전여송 기자] 혈액투석을 꾸준히 받다보면 투석로가 좁아지면서 협착되거나 폐쇄되는 경우가 있다. 투석로의 특성 때문이다.

우리 몸의 동맥과 정맥은 세동맥, 세정맥 등 미세 혈관으로 이어져있는 반면 투석로는 인위적으로 동맥과 정맥을 직접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압력이 높은 동맥에서 압력이 낮은 정맥으로 혈액이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이 반복되면 혈관 벽이 비후된다.

비후된 혈관벽은 점차 좁아지면서 붙게 되고(협착), 협착이 지속되면 폐쇄된다.

투석 과정에서 정맥의 압력이 높게 나타나거나, 동맥 혈류가 부족한 경우, 투석 후 팔이나 얼굴, 손 등등이 붓는 증상이 투석로 협착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진단은 정맥조영술로 한다. 건국대병원 팔다리혈관센터 박상우 센터장은 “정맥을 직접 바늘로 찔러 조영제라는 혈관이 잘 보이는 약제를 주입해서 협착과 같은 혈관의 이상 부위를 찾아낸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상우 센터장은 “투석하기 위해 삽입된 바늘에 조영제를 바로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투석 당시 이상 소견이 발견되면 인터벤션 전문가에게 의뢰해 정맥 조영술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치료는 좁아진 혈관에 풍선을 넣어 넓혀주는 풍선확장술을 시행한다. 통증이 적고, 시술 시간도 1시간 이내로 짧다. 폐쇄된 경우에는 폐쇄된 혈관에 있는 혈전을 제거하는 과정 후 풍선확장술을 시행한다. 하지만 다시 협착하는 경우가 많아 시술 후 평균 1년 내 30~50%가 재시술을 시행한다.

박상우 센터장은 “투석로가 폐쇄됐다고 해서 치료를 못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폐쇄된 경우 혈류의 흐름이 없고 혈전이 가득 차 있어 투석로를 사용하는 기간 자체가 좀 짧아진다”고 말했다.

혈액투석은 우리 몸의 피의 일부를 뽑아 인공신장기를 통해 혈액 속 노폐물 제거, 전해질 균형 유지, 과잉 수분 제거 등을 한 후 다시 피를 몸 속에 넣는 과정이다.

신장기능 저하로 신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만성신부전 환자에게 시행한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314.53 ▲54.48
코스닥 833.00 ▲8.18
코스피200 450.05 ▲8.77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353,000 ▲452,000
비트코인캐시 815,500 0
이더리움 6,147,000 ▲73,000
이더리움클래식 29,260 ▲140
리플 4,179 ▲8
퀀텀 3,632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411,000 ▲531,000
이더리움 6,154,000 ▲77,000
이더리움클래식 29,270 ▲160
메탈 1,006 ▼2
리스크 531 ▲1
리플 4,181 ▲10
에이다 1,238 ▲4
스팀 18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8,420,000 ▲540,000
비트코인캐시 817,500 ▲3,000
이더리움 6,150,000 ▲75,000
이더리움클래식 29,250 ▲140
리플 4,181 ▲11
퀀텀 3,657 ▲9
이오타 273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