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건강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샐러드 시장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가운데 편의점에서도 건강하고 가벼운 한 끼 식사로 샐러드를 찾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세븐일레븐에 따르면 올해(1~10월) 샐러드 카테고리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7.2%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간 샐러드 시장의 비주류로 여겨졌던 남성과 장년층에서의 소비 증가가 성장의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세븐일레븐에 따르면 올해 남성과 장년층의 샐러드 매출 신장률은 각각 34.5%, 48.4%로 전체 신장률을 크게 상회했다.
이에 따라 매출 비중도 크게 올랐다. 올해 50대 이상의 샐러드 매출 비중은 지난해 19.4%에서 22.3%로 증가했다. 반면 20대 매출 비중은 30.2%에서 25.3%로 다소 줄어들었다. 성별로도 남성 매출 비중이 2018년 29.8%, 지난해 34.6%를 넘어 올해는 41.3%까지 급격하게 올라섰다. 올해(~10월) 샐러드 남녀 매출 비중은 40:60로 여전히 여성이 우세를 보이고 있지만 그 차이는 좁혀지고 있는 추세다.
기존에는 샐러드가 다이어트가 목적인 젊은 여성층만 먹는다는 인식이 강했는데, 최근에는 일상식으로 전 연령대에서 고르게 구매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외부 활동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집콕 생활이 길어지자 고칼로리 음식보다는 건강하고 가벼운 샐러드로 한 끼를 해결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세븐일레븐은 이 같은 트렌드에 발맞춰 감동란과 콜라보한 샐러드 상품을 새롭게 출시하며 구색 강화에 나섰다. 세븐일레븐이 올해 샐러드 품목의 연관 구매 경향을 분석한 결과, 샐러드와 함께 가장 많이 구매하는 상품은 반숙란 1위인 ‘감동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감동란’은 편의점 반숙란 카테고리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는 상품으로 다이어트 및 건강관리를 위해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븐일레븐은 샐러드만으로는 살짝 아쉬운 포만감과 단백질 섭취를 만족시키기 위해 반숙란을 함께 구매하는 패턴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세븐일레븐은 샐러드 연관 구매 상품으로 감동란 비중이 높은 점을 반영해 이번 상품을 기획했다. ‘감동란&닭가슴살빅샐러드’는 감동란을 개별 포장해 취식 편의성을 높였으며 수비드 닭가슴살, 옥수수, 방울토마토, 각종 야채 그리고 랜치소스를 곁들여 완성했다. 내달 초 ‘감동란&리코타치즈빅샐러드’도 출시 예정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세븐일레븐 "편의점 샐러드 ‘남성’, ‘장년층’ 소비 크게 늘어"
기사입력:2020-11-18 08:26:0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19.41 | ▼126.03 |
코스닥 | 772.79 | ▼32.45 |
코스피200 | 420.72 | ▼17.88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930,000 | ▲472,000 |
비트코인캐시 | 777,500 | ▲4,000 |
이더리움 | 5,100,000 | ▲4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190 | ▲210 |
리플 | 4,168 | ▲50 |
퀀텀 | 2,909 | ▲1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941,000 | ▲608,000 |
이더리움 | 5,098,000 | ▲4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140 | ▲160 |
메탈 | 1,001 | ▲7 |
리스크 | 580 | ▲5 |
리플 | 4,162 | ▲46 |
에이다 | 1,014 | ▲5 |
스팀 | 18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960,000 | ▲480,000 |
비트코인캐시 | 776,500 | ▲2,500 |
이더리움 | 5,095,000 | ▲3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8,200 | ▲220 |
리플 | 4,167 | ▲49 |
퀀텀 | 2,887 | 0 |
이오타 | 256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