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미국 ETF 운용사 Global X가 나스닥(NASDAQ)에 현지 시각으로 30일, 글로벌 원격의료 및 디지털 헬스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ETF를 상장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확장되는 원격의료는 기존 의료시스템 대비 저비용, 고효율에 개인별 맞춤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장기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광의의 디지털 헬스는 건강 및 건강관리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개념으로 기술 발전에 따라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는 분야다.
Global X 리서치팀에 따르면 디지털 헬스 시장 규모는 올해부터 매년 24.7%의 성장세를 보여 2026년에는 6,570억 달러(약 786조원)가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OECD 국가들의 시스템 비효율성에서 비롯된 의료비 지출을 매년 6천억 달러 가량 줄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한 기존 의료서비스의 재정 및 지리적 장애물을 극복하고 단절된 의료시장 간의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예상했다.
‘글로벌X 원격의료 및 디지털 헬스 ETF(Global X Telemedicine & Digital Health ETF, 티커 ‘EDOC’)’는 Solactive Telemedicine & Digital Health Index를 추종한다.
해당 인덱스는 글로벌 지수업체 Solactive와 Global X가 공동 개발했다. 현재 40개 종목으로 21일 기준 미국 82.48%, 일본, 중국, 홍콩 등이 각각 4%로 구성된다.
의사와 환자간 디지털 연결을 통해 의료진단, 인공지능 및 클라우드 기반 의료통계 분석 플랫폼,
커넥티드 기술을 활용한 헬스케어 장비, 디지털 기술을 통한 의료관리 등과 관련된 매출이 전체 매출의 절반이 넘는 회사에 투자한다.
전세계 ETF 시장의 70% 가량을 차지하는 미국에서 원격의료와 관련된 ETF는 EDOC가 처음이다.
EDOC ETF는 국내에서도 미래에셋대우 등 해외주식 거래가 가능한 증권사를 통해 투자할 수 있다.
미래에셋은 한국, 미국, 캐나다, 호주, 홍콩 등 8개국에서 6월말 기준 370여개 ETF를 약 47조원 규모로 운용 중이다.
글로벌 ETF 리서치 업체 ETFGI에 따르면 미래에셋 글로벌 ETF는 전세계 운용사 중 순자산 규모 17위를 기록 중이다.
다양한 테마형, 인컴형 등 차별화된 상품을 공급하며 미국 ETF시장에서 라이징스타로 주목 받는 Global X를 재작년 인수했다.
최근에는 중국 신성장 테마 ETF를 통해 성장한 홍콩 상장 ETF가 순자산 1조원을 돌파했다.
작년 7월 상장한 차이나 바이오텍(Global X China Biotech ETF) 및 차이나 클라우드 컴퓨팅 ETF(Global X China Cloud Computing ETF)가 대표적으로 24일 기준 각각 91.8%, 95.6% 누적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올해 1월 상장한 글로벌X 차이나 컨슈머 브랜드 ETF(Global X China Consumer Brand ETF), 글로벌X 차이나 전기차 ETF(Global X China Electric Vehicle ETF),
글로벌X 차이나 클린에너지 ETF(Global X China Clean Energy ETF)도 반년 만에 각각 18.6%, 31.2%, 16.9% 성과를 올렸다.
Global X의 루이스 베루가 CEO는 “투자자들은 EDOC ETF를 통해 전세계적으로 급격한 성장이 예상되는 디지털 헬스 기업에 손쉽게 투자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혁신적인 테마형 상품을 통해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투자자들에게 투자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미래에셋 Global X, 원격의료 및 디지털 헬스 ETF 나스닥 상장
기사입력:2020-07-31 17:42:34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004.42 | ▼117.32 |
| 코스닥 | 901.89 | ▼24.68 |
| 코스피200 | 565.40 | ▼16.54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5,876,000 | ▲520,000 |
| 비트코인캐시 | 733,000 | ▼1,500 |
| 이더리움 | 5,168,000 | ▲26,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940 | ▲10 |
| 리플 | 3,452 | ▲45 |
| 퀀텀 | 2,634 | ▲5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5,832,000 | ▲553,000 |
| 이더리움 | 5,164,000 | ▲19,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920 | ▲20 |
| 메탈 | 621 | 0 |
| 리스크 | 270 | ▲1 |
| 리플 | 3,455 | ▲48 |
| 에이다 | 813 | ▼2 |
| 스팀 | 115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5,680,000 | ▲350,000 |
| 비트코인캐시 | 731,500 | ▼1,500 |
| 이더리움 | 5,170,000 | ▲2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970 | ▲50 |
| 리플 | 3,453 | ▲47 |
| 퀀텀 | 2,630 | 0 |
| 이오타 | 193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