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탁] GS칼텍스, 복합수지 기반 ‘친환경 경영’ 확대

기사입력:2020-07-02 14:51:40
친환경 복합수지 인포그래픽

친환경 복합수지 인포그래픽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최영록 기자] GS칼텍스(대표 허세홍 사장)가 자원 효율화 및 탄소 저감을 위한 친환경 원료 적용 확대에 나선다. 특히 폐플라스틱 재활용 소재로 만들어진 복합수지를 기반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역량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복합수지(Compounded Resin)는 자동차 및 가전 부품의 원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기능성 플라스틱이며, 국내 정유사 중 GS칼텍스만 생산하고 있다.

GS칼텍스는 친환경 복합수지 생산량이 전체 복합수지 생산량의 10%를 넘어섰다고 2일 밝혔다. 폐플라스틱을 소각하지 않고 친환경 복합수지 생산을 위해 재활용하는 경우 이산화탄소를 연간 6만1000톤 감축해 온실가스 배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소나무 930만그루를 심은 효과와 같으며, 자동차 연간 배출가스 기준 환산시 승용차 3만대가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한 것과 같다.

GS칼텍스는 지난 2010년부터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친환경 복합수지 사업을 시작하고 있으며, 현재 친환경 복합수지 연간 생산량은 2만5000톤으로 초기 생산량에 비해 2.5배 이상 성장했다.

GS칼텍스는 폐플라스틱을 단순히 재활용하는 차원에서 더 나아가 다양한 물성의 재료를 혼합하여 성능, 품질에 대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업사이클링 방식’에 주목하고 있다.

허세홍 사장은 “기존의 채굴, 사용, 폐기에 의존하는 자원 소모적 방식은 한계에 직면했다”며 “폐기물 최소화에 따른 효율적 사용으로 자원 순환 비율을 높이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업사이클링 방식이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GS칼텍스는 향후 글로벌 고객사와 협업을 통해 친환경 원료를 활용한 제품을 개발·생산함으로써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사회적 책임 이행과 동시에 고부가가치 상품을 통한 경제적 가치 창출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GS칼텍스는 연산 30만톤의 복합수지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준중형 자동차 1대를 제작하는데 복합수지가 약 50kg 가량 들어가는 것을 감안하면 이는 준중형 자동차 60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분량이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953.76 ▼72.69
코스닥 876.81 ▼21.36
코스피200 557.98 ▼10.4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2,632,000 ▲220,000
비트코인캐시 749,500 0
이더리움 5,126,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970 ▲20
리플 3,450 ▼3
퀀텀 2,873 ▼1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2,703,000 ▲252,000
이더리움 5,133,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5,000 0
메탈 698 0
리스크 301 0
리플 3,455 ▲3
에이다 859 ▼7
스팀 12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2,530,000 ▲100,000
비트코인캐시 747,000 ▼5,500
이더리움 5,125,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4,960 ▼20
리플 3,452 ▲1
퀀텀 2,866 ▼41
이오타 212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