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신분확인 체험서비스 시작…시민 1인 1 전자지갑 시대 대비

시청 1층에 6월 19일까지 홍보부스 운영 기사입력:2020-06-09 09:03:29
부산시민 전자지갑 개념도.(제공=부산시)

부산시민 전자지갑 개념도.(제공=부산시)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스마트폰 하나로 생활이 가능한 시민 1인 1 전자지갑 시대에 대비해 블록체인 분산신원증명(Decentralized Identifier, 이하 DID) 기술을 적용한 ‘모바일 신분확인 체험서비스’가 6월 9일부터 시작된다. 이를 시민들에게 알리기 위해 부산시청 1층에 6월 19일까지 2주간 홍보부스도 운영한다.

DID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신분증처럼 온라인 환경에서 사용자(정보 주체)가 직접 자신의 신원정보를 관리·통제하는 디지털 신원 관리 체계로, 비대면·데이터 경제 시대를 맞아 블록체인 실사용 사례로 주목받고 있는 기술 중에 하나다.

모바일 신분확인 체험서비스는 ‘부산블록체인체험앱(구글플레이에서 다운로드)’ 회원가입을 통해 이용 가능하며, 체험앱 회원가입 및 로그인 시 본인인증을 기존 아이디/패스워드 방식이 아닌 DID로 인증하기 때문에 별도의 사용자 정보 등록은 필요 없다. 체험앱은 현재 안드로이드(Adroid) OS가 탑재된 스마트폰에서만 구동되며, 아이폰(iPhone)은 NFC 기능 미지원 등으로 이용이 불가하다.

또한 체험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발급·서비스되는 부산시청 출입 방문증, 다자녀가정 가족사랑카드 등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있는 DID 정보에서 신분 확인에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직접 통제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되어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체험앱에서 서비스되는 ‘부산시민카드’는 별도의 주민등록증 등 신분증이나 주민등록등·초본 등의 증명서 제출을 통한 확인 없이 ‘부산시민 신분확인·인증‘이 가능하다.

시는 향후 도서관 회원증 발급 등 부산시민카드와 결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적극 발굴할 계획이며, 디지털바우처(블록체인특구사업) 등과도 연계하여 시청 내 카페, 구내식당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결제기능도 강화하여 블록체인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앞으로 공인인증서 체계 폐지 내용을 담은 전자서명법 개정안 시행과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디지털 산업 환경 변화 등에 따라 분산신원증명(DID) 등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공공서비스가 빠르게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DID는 공공서비스에서 편리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신분확인·인증 수단”이라며 “이번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연계 서비스를 발굴하여 향후 스마트폰 하나로 생활이 가능한 시민 1인 1 전자지갑 시대를 열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했다.

전용모 로이슈(lawissue)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83.23 ▲49.49
코스닥 797.70 ▲7.34
코스피200 428.42 ▲6.4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718,000 ▼314,000
비트코인캐시 701,500 ▲500
이더리움 3,772,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3,890 ▼140
리플 3,320 ▼23
퀀텀 2,851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666,000 ▼494,000
이더리움 3,771,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3,850 ▼190
메탈 969 ▲1
리스크 545 ▼2
리플 3,316 ▼23
에이다 849 ▼10
스팀 18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720,000 ▼420,000
비트코인캐시 702,500 ▲1,000
이더리움 3,774,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3,890 ▼190
리플 3,322 ▼24
퀀텀 2,858 ▼2
이오타 237 ▲1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