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안랩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가 유행한 기간 동안 ‘BlueCrab 랜섬웨어(이하 블루크랩 랜섬웨어)’ 유포에 쓰인 키워드를 분석해 발표했다.
안랩은 코로나19가 유행한 최근 5개월여(2020.1.1~2020.5.25) 간 V3 사용자가 다수의 블루크랩 유포 피싱 사이트에서 받은 파일명을 기반으로, 공격자가 활용한 키워드를 도출해 이를 카테고리별로 분석했다.
전체 기간 중 키워드 비중은 ‘업무관련 SW(설계 및 통계 프로그램/이미지 및 문서 프로그램/뷰어 등) 다운로드’ 카테고리가 전체의 30%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게임(설치파일/게임 패치/게임 핵 등)’ 카테고리가 22%, '동영상(영화 및 드라마 파일/동영상 플레이어 코덱 등)’ 카테고리가 11%를 각각 기록했다. 이어 온라인 교육 관련(10%), 음악(5%), 책/만화(5%), 소셜 미디어(1%) 카테고리 순으로 집계됐다.
가장 많이 활용된 키워드 카테고리 TOP 3(업무관련 SW다운로드, 게임, 동영상)를 합치면 전체의 63%를 차지한다. 이는 공격자가 코로나19로 인한 원격근무나 온라인 수업에 사용되는 SW, 실내 여가활동 등에 연관된 키워드를 주로 활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안랩, 코로나19 시기 ‘블루크랩 랜섬웨어’ 유포 키워드 분석 발표
기사입력:2020-06-01 15:26:3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445.24 | ▼16.06 |
코스닥 | 863.11 | ▲6.00 |
코스피200 | 473.44 | ▼1.9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587,000 | ▼58,000 |
비트코인캐시 | 835,000 | ▲1,000 |
이더리움 | 6,275,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910 | ▼90 |
리플 | 4,162 | ▲1 |
퀀텀 | 3,300 | ▼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554,000 | ▲49,000 |
이더리움 | 6,271,000 | ▲1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910 | ▼100 |
메탈 | 989 | ▼3 |
리스크 | 497 | ▼2 |
리플 | 4,161 | ▲3 |
에이다 | 1,235 | ▼2 |
스팀 | 183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530,000 | ▼100,000 |
비트코인캐시 | 833,500 | 0 |
이더리움 | 6,280,000 | ▲2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880 | ▼20 |
리플 | 4,160 | ▲1 |
퀀텀 | 3,314 | ▼4 |
이오타 | 26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