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글로벌 신약개발기업 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이 지난 15일(현지시각) 미국 보건부가 코로나19 치료제 개발비를 지원하는 BARDA BAA(Broad Agency Announcement) 프로젝트에 '중증폐렴 또는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으로 COVID-19 감염의 진행을 예방하기 위한 EC-18' 연구계획서를 제출, 3,500만달러(한화 400억원) 규모의 긴급 예산(그랜트)을 신청했다고 22일 밝혔다.
 미국 보건부(HHS)와 미국 생의학연구개발청(BARDA)이 추진하는 BARDA BAA 프로젝트는 코로나19 등 비상상황에 대비한 긴급 의약품 의료대응체계(MCM)로, 긴급의료용 신약개발을 지원하는 美 정부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에 선정되면 BARDA로부터 임상시험 등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을 전폭 지원받아 치료제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신약물질 'EC-18'이 면역세포가 바이러스 및 세균을 신속하게 집어삼켜 빠른 시간내에 제거하고, 세포 내에 침투한 병원체는 활성산소를 배출해 제거하며 코로나19 주 사망 원인인 사이토카인 폭풍을 억제하는 획기적인 플랫폼 기술로, 다수의 국제 학술논문과 임상을 토대로 BARDA BAA 프로젝트에 긴급신청했다고 설명했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이번 BARDA BAA 프로젝트는 세계적인 코로나19 전문가로 유명한 美 듀크大 '카메론 로버트 울프'(Cameron Robert Wolfe) 교수가 총괄사령탑(PI)을 맡을 것이며 석학들로 구성된 신약개발 과학기술자문단과 함께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울프 교수는 최근 엔지켐생명과학 美 FDA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을 위한 핵심오피니언리더(KOL) 및 임상시험책임자(PI)로 전격 영입됐다.
 손기영 엔지켐생명과학 대표는 "현재 BARDA는 COVID-19 관련 지원과제를 집중 지원하고 있고, 선정된 신약은 미국 정부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어 글로벌 제약사로 도약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세계 최고 코로나19 권위자 '울프' 교수가 이끄는 드림팀이 좋은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신약물질 'EC-18'이 패턴인식수용체(PRR. TLRs)의 세포내 재순환을 촉진시켜 세포나 조직 손상으로 몸에 쌓이는 손상연계분자패턴(DAMP)과 병원균연계분자패턴(PAMP)을 신속히 제거해 염증을 해소하고, 코로나19 감염병, 종양,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구강점막염 등 염증성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최초의 PETA(PRR Endocytic Traffickcing Accelerator) 작용기전 플랫폼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엔지켐생명과학, 美 보건부 '코로나 치료제 개발 프로젝트' 신청
기사입력:2020-05-22 13:50:4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137.00 | ▼84.87 | 
| 코스닥 | 929.78 | ▲15.23 | 
| 코스피200 | 584.48 | ▼14.55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8,478,000 | ▼1,498,000 | 
| 비트코인캐시 | 755,000 | ▼8,500 | 
| 이더리움 | 5,344,000 | ▼96,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440 | ▼360 | 
| 리플 | 3,460 | ▼54 | 
| 퀀텀 | 2,584 | ▼29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8,536,000 | ▼1,554,000 | 
| 이더리움 | 5,353,000 | ▼86,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490 | ▼340 | 
| 메탈 | 607 | ▼10 | 
| 리스크 | 281 | ▼2 | 
| 리플 | 3,461 | ▼53 | 
| 에이다 | 825 | ▼13 | 
| 스팀 | 115 | ▼2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58,340,000 | ▼1,660,000 | 
| 비트코인캐시 | 753,000 | ▼11,500 | 
| 이더리움 | 5,345,000 | ▼95,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2,470 | ▼380 | 
| 리플 | 3,459 | ▼55 | 
| 퀀텀 | 2,580 | ▼40 | 
| 이오타 | 193 |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