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국내 공유주방 시장이 지속 성장함에 따라, 해당 업계에서 차세대 유니콘 기업이 탄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유주방이 성장하고 있는 배경에는 어떤 시장 흐름이 있고, 그에 따르면 어떤 기업이 가장 성장 가능성이 높을까.
공유주방의 성장 배경에는 ‘온라인 식품 시장의 성장‘이 자리하고 있다.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식품 시장은 지속 성장 중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11월 온라인 쇼핑 동향’에 따르면, 온라인 음식 서비스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0.3%(5,128억) 증가한 1조 242억 원을 기록했다.
이처럼 식품 소비 패턴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증가한 수요를 충족시키려는 공급자들도 많아지고 있다. 공유주방은 이러한 온라인 식품 공급에 뛰어들려는 창업자들을 위한 서비스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8월 한국외식산업경영연구원이 발표한 ‘공유주방 산업 발전을 위한 연구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공유주방 시장 규모는 1조 원에 달했다.
아직까지 국내 공유주방 시장은 배달형에 치중되어 있다. 배달의 민족이 발표한 통계 자료에 따르면 음식점업 중 배달음식점의 비율은 약 20%로 규모가 크지 않다. 배달 음식 시장이 지속 성장하고는 있지만, 그 안에서 공유주방을 포함한 많은 업체들이 경쟁을 하고 있어 큰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다.
반면, 식품제조/유통 시장은 온라인 식품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새로운 블루오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9년도 3분기 기준 오프라인 식품 사업의 온라인 전환율이 약 12%밖에 되지 않기 때문. 공유주방 업체가 단순 배달형을 넘어 식품 창업자들에게 온라인에 최적화된 생산 및 배송 인프라를 제공한다면 차세대 유니콘 기업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쿡은 다양한 음식 사업자들의 니즈에 맞춰 ▲식품 제조∙유통형 ▲배달형 ▲식당형 세 가지 형태의 공유주방을 운영하고 있다. 먼저, 배달형 공유주방인 ‘위쿡 딜리버리‘를 통해 차별화된 배달 맛집 브랜드를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제조형/식당형 공유주방을 통해서도 스타 푸드메이커 배출에 집중하려는 모습이다. 또한, 식당형 공유주방을 통해 부타이, 부타이 라무라와 같이 지역 맛집으로 자리잡은 브랜드들을 선보인 지 오래다. 이처럼 위쿡은 2년이 넘는 시간동안 ‘푸드 콘텐츠’를 발굴하며 쌓아온 내부 역량을 활용하여 2020년 스타 푸드메이커를 배출하는데 집중할 예정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위쿡, 차세대 유니콘 기업으로 부상
기사입력:2020-04-06 16:30:4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535,000 | ▲100,000 |
비트코인캐시 | 520,500 | ▼2,000 |
이더리움 | 2,630,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630 | ▼80 |
리플 | 3,152 | ▼4 |
이오스 | 1,027 | ▼9 |
퀀텀 | 3,025 | ▼2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581,000 | ▲161,000 |
이더리움 | 2,630,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690 | ▼50 |
메탈 | 1,162 | ▲4 |
리스크 | 734 | ▼10 |
리플 | 3,156 | ▼1 |
에이다 | 1,001 | ▼6 |
스팀 | 204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560,000 | ▲180,000 |
비트코인캐시 | 520,500 | ▼1,500 |
이더리움 | 2,631,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650 | ▼70 |
리플 | 3,152 | ▼6 |
퀀텀 | 3,031 | 0 |
이오타 | 293 |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