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5G 원격제어 기술 보유 벤처 ‘쿠오핀’ 지분투자 실시

기사입력:2020-02-25 18:21:04
LG유플러스 용산사옥에서 투자사들이 쿠오핀과 투자 협약식을 맺고 있는 모습. 왼쪽부터 LG유플러스 이상엽 상무, LG유플러스 조원석 전무, 쿠오핀 이상훈 대표,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김재완 대표, 어니스트벤처스 오규희 이사.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용산사옥에서 투자사들이 쿠오핀과 투자 협약식을 맺고 있는 모습. 왼쪽부터 LG유플러스 이상엽 상무, LG유플러스 조원석 전무, 쿠오핀 이상훈 대표,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김재완 대표, 어니스트벤처스 오규희 이사. 사진=LG유플러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심준보 기자]
LG유플러스는 쿠오핀과 5G 원격제어 핵심 기술인 ‘초저지연 영상 전송 솔루션’ 상용화를 위한 지분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지분 투자는 LG유플러스를 비롯해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어니스트벤처스’, ‘동유기술투자’ 3개 투자사가 함께 참여했으며, 이번 협약으로 투자사들이 확보한 쿠오핀의 지분율은 28%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지난해 5G 기반의 초저지연 영상 전송 기술을 활용해 ▲부산항 크레인 원격제어 ▲두산인프라코어와 원격 굴착기 제어 ▲ LG전자 물류로봇 작업환경 감지 ▲한양대와 5G 자율주행차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관제 등 10여 건의 원격조종 실증을 진행했다.

쿠오핀이 보유한 초저지연 영상 전송 기술은 원격지에서 전송한 영상을 보면서 실시간으로 기기를 제어하는 5G 원격제어 서비스에 필수적인 솔루션이라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올해에는 5G B2B 시장이 본격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LG유플러스는 선제적 투자로 일정기간 독점적으로 쿠오핀의 기술을 활용하여 5G 기반의 원격제어가 필요한 분야에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중장비 무인 운전, 드론, 자동차, 로봇 제어 등 5G B2B 서비스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LG유플러스 기업신사업그룹장 조원석 전무는 “양사가 확보한 차별화된 5G 초저지연 전송 기술은 국내외 5G 시장에서 수요가 상당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면서 “LG유플러스는 향후 굴착기, 크레인 원격제어 사업화 및 로봇 원격제어 분야에서 쿠오핀의 솔루션을 적극 활용해 5G B2B 시장을 선점할 것”이라고 말했다.

쿠오핀 이상훈 대표는 “LG유플러스를 비롯한 투자사들의 개발 자금 지원으로 보다 원활하게 5G 원격제어 기술 상용화가 가능해 졌다”며 “쿠오핀의 독보적인 기술력을 통해 LG유플러스가 5G 원격제어 서비스 분야 비즈니스 모델을 적기에 사업화하여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421,000 ▲287,000
비트코인캐시 532,500 ▼500
이더리움 2,598,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000 ▲20
리플 3,171 ▲7
이오스 978 ▲4
퀀텀 3,117 ▲17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571,000 ▲421,000
이더리움 2,601,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4,020 ▲70
메탈 1,216 ▲4
리스크 790 ▲3
리플 3,172 ▲6
에이다 991 0
스팀 21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6,510,000 ▲340,000
비트코인캐시 531,500 ▼2,500
이더리움 2,599,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080 ▲170
리플 3,171 ▲5
퀀텀 3,065 0
이오타 30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