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GSMA가 발행하는 미디어인 모바일 월드 라이브(Mobile World Live)에 따르면, 화웨이는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데이터(GlobalData)의 '5G 무선접속네트워크(RAN): 경쟁구도 평가' 2019년 하반기 보고서에서 상반기에 이어 1위 기업에 이름을 올리며 5G 무선접속네트워크 시장에서 독보적인 선도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유지했다. 글로벌데이터는 전 세계 주요 장비업체들의 5G RAN 제품 포트폴리오를 평가한 결과를 보고서에 담았다.
화웨이는 5G 무선접속네트워크(RAN) 경쟁구도 평가에서 기저대역 유닛(BBU), 무선통신 (Radio Unit Portfolio) 포트폴리오, 설치 용이성, 기술 진화 4개 항목 모두 최고점을 받았다.
글로벌데이터는 기저대역 유닛(BBU) 용량, 무선통신 포트폴리오, 설치 용이성, 기술 진화 등 4개 항목을 평가해, 조사 기업들의 5G 무선접속네트워크(RAN) 경쟁력을 분석했다. 화웨이는 4개 항목에서 모두 최고점을 받아 1위 기업에 선정되었다.
화웨이는 업계에서 가장 완벽한 5G 무선통신 제품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다. 화웨이는 현재 대용량 다중입출력(Massive MIMO) 모델 22개, 통합 안테나 모델 32개, 듀얼 밴드(두 대역에서 작동 가능한) 모델 14개 등 총 94개의 무선통신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화웨이 5G RAN 무선통신제품은 업계에서 가장 강력한 35 NR(New Radio, 뉴라디오, 5G 기술 규격) 대역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이동통신사업자는 가입자들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화웨이는 업계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유연한 5G RAN 구축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화웨이는 기존 설치 기준(제품 무게 및 치수 등)에 대한 명확한 규정은 물론, 신속하고 간편하게 5G를 설치할 수 있는 여러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다. 한 예로, '슈퍼 블레이드사이트(Super BlaedSite)' 솔루션은 설치 공간이 극도로 제한된 곳에서도 장비실 및 에어컨에 대한 장비 의존도를 줄여 5G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다.
화웨이는 업계에서 가장 강력한 기저대역 유닛(BBU)을 제공한다. 화웨이의 BBU 제품은 6GHz 이하에서는 100MHz 대역폭의 36개 셀을, mmWave 대역에서는 400MHz 대역폭의 36개 셀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런 높은 BBU 성능을 통해, 전 세계 이통사들은 트래픽이 갑자기 증가해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5G RAN 포트폴리오 분야 평가에서 화웨이는 유일하게 ‘최우수’ (Leader) 등급을 받았다.
한편, 타사의 제품은 화웨이의 장비만큼의 수준은 못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글로벌데이터의 자료에 따르면, 에릭슨 BBU 시리즈의 경우 단위 용량당 지원이 많지 않고, 무선통신 (Radio Unit Portfolio) 포트폴리오도 동종 제품만큼 광범위하지 않아 관련 포트폴리오 부문에서 ‘우수 (Strong)’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ZTE또한 다중입출력(Massive MIMO) 제품을 많이 제공하지 못하고 밴드 지원을 할 수 있는 RU 제품도 많지 않아 에릭슨과 동일하게 ‘우수 (Strong)’ 등급을 받았다. 노키아 역시 단위 용량당 비슷한 수준을 지원하는 BBU 항목을 제공하지 않으며, 5G 상용 구축 및 프로젝트 제공 지연과 관련된 문제에 직면하는 경우도 있다.
전반적으로 나머지 4개 공급업체는 5G RAN 포트폴리오 분야에서 ‘매우 우수 (Very Strong)’ 등급으로 받는 반면, 화웨이는 해당 분야에서 ‘최우수 (Leader)’ 등급을 받아 선두 자리를 지켰다.
글로벌데이터는 이통사가 뛰어난 5G RAN 공급업체를 선택하고, 공급업체는 자체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이번 보고서를 발간했다. 향후 5G는 다양한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필수적 기반으로 자리매김하며, 폭넓게 구축될 것이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화웨이, 글로벌데이터 조사 '5G RAN 경쟁력' 1위 기업 선정
기사입력:2020-01-21 17:27:4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75.77 | ▼7.46 |
코스닥 | 800.47 | ▲2.77 |
코스피200 | 428.0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225,000 | ▲97,000 |
비트코인캐시 | 689,000 | ▼500 |
이더리움 | 4,048,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120 | ▼20 |
리플 | 3,857 | ▼2 |
퀀텀 | 3,146 | ▲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1,021,000 | ▲37,000 |
이더리움 | 4,045,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120 | ▲10 |
메탈 | 1,076 | ▼3 |
리스크 | 602 | ▲1 |
리플 | 3,857 | ▲3 |
에이다 | 1,008 | ▼1 |
스팀 | 199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840,000 | ▲150,000 |
비트코인캐시 | 686,000 | ▼1,000 |
이더리움 | 4,056,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040 | ▲120 |
리플 | 3,844 | ▼15 |
퀀텀 | 3,147 | ▲10 |
이오타 | 29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