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증권 "SNK, 러닝로열티 성장과 M&A로 실적 개선 기대되는 현금 부자 게임주"

기사입력:2020-01-06 09:44:09
자료=SK증권

자료=SK증권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심준보 기자] SK증권은 SNK(950180, 전 거래일 종가 1만7450원)가 킹오파, 메탈슬러그, 사무라이스피리츠 등 확장성 높은 우량 IP를 보유한 일본 게임사로 신작 및 출시 예정작으로부터 러닝로열티 성장이 기대된다며 높은 IP 확장성, 높은 중국 비중, 풍부한 현금 활용 통한 비유기적 성장 가능성이 긍정적이라고 6일 전망했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SK증권에 따르면 SNK 는 200여 종의 오락실 게임 IP 보유한 일본 게임사로 PC, 콘솔, 모바일 환경에서 부진하며 고전하다 2015년 중국 Ledo Interactive 갈지휘 회장이 지분 전량 인수하며 IP 라이선스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라이선스 사업 수익 구조는 License Fee(LF), Minimum Guarantee(MG), Running Royalty(RS)로 구성된다. 라이선스 계약 체결 시 3~40억원 수준의 LF+MG 수수료를 받으며, IP 제공한 게임 매출이 일정 수준을 상회할 시 이의 8~10%를 RS로 수취한다. 작년 5월 코스닥에 상장했으나 상장 이후 신규 라이선스 계약이 부진하는 등 고평가 논란에 시달리며 공모가(40,400원) 대비 주가가 60% 가량 하락했다.

하지만 지난해 11월부터 러닝 로열티 매출이 본격 발생하며 지난해 8월부터 올 7월까지 당기순이익 400억원 이상을 거둘 것으로 SK증권은 기대했다. 현 시총은 3700억원 수준으로 러닝로열티 매출 증가에 기반한 실적 개선 기대감, 중국 시장 인지도 및 입지, M&A에 활용할 2500억원의 현금 대비 저평가 상태라고 판단했다.

SK증권은 SNK의 투자포인트로 ▲러닝로열티 성장 ▲확장성 높은 우량 IP ▲긍정적인 중국 시장을 꼽았다.

SK증권 이진만 연구원은 “지난해 IP 라이선스 계약 9건으로 2018년 14건 대비 감소했으나 2017년 6건 대비 증가 추세에 있다”라며 “올해 신규계약 전망은 다소 보수적이나 롱월전설(사무라이 스피리츠 중국 버전), 넷마블 KoF 올스타(지난해 10.22 글로벌 출시), KoF 권혼각성(지난해 12.6 중국 출시) 등 기존 인기작 및 SNK올스타, 메탈슬러그 신작(Tencent 산하 Timi 개발) 등 출시 예정작으로부터 로열티매출 성장 기대된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친숙하고 다양한 캐릭터를 바탕으로 한중일 등 동북아시아 국가에서 IP 인지도가 높아 최근에는 중국 모바일 MOBA 왕자영요에 KoF 캐릭터를 제공하고 License Fee 수취하는 등 수익 모델을 확장 중이다”라며 “올 3분기 출시 예정인 SNK 올스타처럼 여러 SNK 게임 캐릭터들이 동시에 등장하거나 KoF와 철권7의 콜라보처럼 타사 게임과의 콜라보도 가능하기 때문에 확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진만 연구원은 “중국 대주주를 보유한 동사는 판호 이슈로부터 자유로우며(FY19 상반기 판호 3개 취득), 라이선스 매출의 8~90%가 중국에서 발생한다”라며 “갈지휘 회장이 개발자로 몸담았던 중국 3위 퍼블리셔 37 Games 산하 Perfect World는 SNK 지분 20% 보유한 SI로 동사 중국 시장 공략에 좋은 파트너이며 외자 판호 발급 재개 후 최근 일본 IP 게임에 대한 판호가 많이 나오고 있는 점도 긍정적이다”라고 전망했다.

그는 “올해 실적 개선과 보유현금 시총 대비 68.3% 감안 시 현 주가는 매력적인 구간”이라며 “보유 현금은 개발사 인수 통한 성장에 적극 활용 계획으로 최근 중국 법인에 인수 목적으로336억원을 출자한 바 있다”라고 진단했다.

심준보 로이슈(lawissue) 기자 sjb@r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9.79 ▲3.18
코스닥 721.86 ▲4.62
코스피200 338.79 ▲0.50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700,000 ▼162,000
비트코인캐시 542,000 ▲7,000
이더리움 2,620,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4,380 ▼120
리플 3,158 ▼27
이오스 1,066 ▲3
퀀텀 3,131 ▼1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631,000 ▼259,000
이더리움 2,620,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4,390 ▼110
메탈 1,195 ▼5
리스크 776 0
리플 3,159 ▼25
에이다 1,008 ▼9
스팀 21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8,640,000 ▼140,000
비트코인캐시 542,000 ▲7,000
이더리움 2,620,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4,370 ▼110
리플 3,158 ▼28
퀀텀 3,138 0
이오타 310 ▲7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