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영삼 기자] 광화문, 강남, 여의도 등 서울 3대 도심 배후지역으로 수요자들이 몰리고 있다. 직장과 가깝게 살면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고 교통, 교육, 편의시설 등이 고르게 갖춰진 곳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서울에 각종 부동산규제들이 집중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3대 도심 배후지역들은 ‘완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금융결제원 자료에 따르면 11월 21일 기준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47개 단지 중 1순위 청약자가 5천명 이상이었던 곳은 총 18곳이다. 강남구가 3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대문•서초•송파•성북•동대문•동작이 각각 2곳, 강동•은평•종로가 각각 1곳이었다. 특히 올해 예비당첨자 비율이 500%까지 확대되면서 수요자가 몰린 지역들은 계약도 빠르게 마감되고 있는 추세다.
이들 지역은 광화문, 강남, 여의도 등 3대 도심 접근성이 우수하다는 공통점을 갖추고 있다. 또, 재건축•재개발 등의 정비사업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교통, 교육, 편의시설 등 기존 인프라가 뛰어난 것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3대 도심 배후지역에 위치한 단지들은 시세도 강세다. 3호선을 이용해 광화문 출퇴근이 용이한 서대문구 홍은동 ‘북한산 더샵’ 전용면적 84㎡는 지난 9월 9억4,000만원(15층)에 거래됐다. 지난 15년 분양 당시 분양가가 약 5억원이었음을 감안하면 4억4,000만원이 오른 셈이다. 7호선을 이용해 강남 접근성이 우수한 ‘e편한세상상도노빌리티’ 전용면적 85㎡는 지난 16년 분양가가 7억3,000만원이었으나 지난 7월 12억9,000만원에 거래돼 5억6,000만원이 올랐다.
이러한 의미에서 앞으로도 3대 도심 배후지역에서 분양하는 단지들은 많은 수요자들의 관심을 끌 전망이다.
대림산업은 12월 서대문구 홍은1구역 재건축 단지인 ‘e편한세상 홍제 가든플라츠’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4층~지상 28층, 6개동, 총 481세대 규모로 조성되며 이 중 전용면적 39~84㎡ 346세대가 일반분양될 예정이다. 지하철 3호선 홍제역을 이용하면 종로3가까지 11분, 여의도역 30분대, 강남 40분대 접근이 가능하다. 단지와 맞닿아 백련산이 자리 잡고 있어 주거 여건이 쾌적하고, 유진상가, 홍제시장 등 홍제역 상권과 이마트(은평점), NC백화점(불광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포스코건설은 11월 영등포구 신길3구역 주택재개발을 통해 '신길 더샵 프레스티지'를 분양할 예정이다. 총 799세대로 이뤄지며 이 중 전용면적 59~114㎡ 316세대를 일반분양 한다. 단지는 반경 1㎞ 내 지하철 1·5호선 신길역이 있어 여의도로 접근이 우수하다. 인근으로 서울영신초, 서울우신초, 장훈고 등이 위치하며 메낙골근린공원이 인접해 있다.
같은 달, 현대엔지니어링은 강동구 천호·성내3구역 주택재개발을 통해 ‘힐스테이트 천호역 젠트리스’를 공급할 예정이다. 지하 7층~지상 45층, 2개 동, 전용면적 84㎡ 아파트 160세대와 전용면적 17~30㎡ 오피스텔 182실, 총 342세대 규모다. 단지는 지하철 5·8호선 천호역이 인접해 있어 강남 접근성이 용이하다. 또 현대백화점, 이마트 등 대형 마트가 가까워 편리한 생활이 가능하다.
김영삼 로이슈(lawissue) 기자 yskim@lawissue.co.kr
출퇴근 편리한 3대 도심 배후지역으로 수요자 몰린다
기사입력:2019-11-23 14:09:3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501,000 | ▼349,000 |
비트코인캐시 | 527,000 | ▲1,000 |
이더리움 | 2,614,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270 | ▼80 |
리플 | 3,156 | ▼3 |
이오스 | 1,020 | ▼5 |
퀀텀 | 3,123 | ▼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554,000 | ▼305,000 |
이더리움 | 2,615,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300 | ▼30 |
메탈 | 1,184 | ▲4 |
리스크 | 780 | 0 |
리플 | 3,153 | ▼5 |
에이다 | 994 | ▼2 |
스팀 | 21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450,000 | ▼380,000 |
비트코인캐시 | 527,000 | 0 |
이더리움 | 2,615,000 | ▼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250 | ▼70 |
리플 | 3,155 | ▼5 |
퀀텀 | 3,160 | 0 |
이오타 | 301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