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영상 인식과 인지·제어 기술, 자율주행 기술, 5G 원격 제어, 드론을 활용한 3차원 측정, 작업량 산정 및 배치, 고장 예측 기술 등 4차 산업혁명의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미래의 건설현장 모습이 첫 선을 보인다.
두산인프라코어는 20일, 충남 보령시 두산인프라코어 성능시험장에서 건설현장 종합 관제 솔루션 '컨셉트-엑스(Concept-X)’를 공개하고 시연회를 연다. 이날 행사에는 정관계 인사와 보쉬(Bosch), ASI, LG유플러스, 포테닛 등 ‘컨셉트-엑스’ 개발 관련 기업 및 기관, 학계 등에서 총 200여 명이 참석한다.
‘컨셉트-엑스’는 드론을 통한 3D 스캐닝으로 작업장의 지형을 측량하고, 측량한 지형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석, 작업계획을 수립한 뒤 무인 굴착기와 휠로더 등으로 작업을 진행시키는 종합 관제 솔루션이다. 관제센터에 있는 작업자는 이 같은 작업과정이 원활하게 돌아 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 동안 건설기계장비 분야에서 개별적인 무인 기술을 선보인 적은 있으나, 측량부터 건설기계 운용까지 전 과정을 무인·자동화로 선보이는 것은 세계 처음이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이날 시연회에서 드론으로 측량한 데이터를 이용해 작업장을 3차원 지도로 생성하는 기술과, 굴착기와 휠로더 등 건설기계가 상황별로 무인 작업을 하는 기술을 선보인다. 종합 관제를 맡은 엑스 센터(X-Center)에서는 작업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운용하는 기술도 공개한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컨셉트-엑스’가 실제 현장에 적용된다면 작업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낮춰 생산성, 경제성을 높이는 동시에, 안전성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오는 2025년까지 건설현장 종합 관제 솔루션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단, 드론 측량 및 데이터 분석, 건설기계 무인 운용과 관리 등 각 개별 단위 기술들은 검증을 마치는 대로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손동연 두산인프라코어 사장은 “컨셉트-엑스는 단순 무인 기술이 아니라, 각각의 개별 기술들이 융합된 집약체이면서, 동시다발로 작업이 발생하는 현장의 움직임에 신속하고 정확히 대응할 수 있는 첨단기술”이라며, “생산성과 경제성은 물론, 안전성도 높인 사람 중심의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독자적인 기술 개발과 함께 기업 및 학교와 협업, 스타트업 투자 등 다양한 형태로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을 추진해왔다. 서울대, 연세대, 한양대 등과 함께 AI를 통한 건설기계 운용, 드론 3D 측량, 작업 데이터 분석 등 지속 산학협력을 이어왔고, 지난해에는 LG유플러스와 제휴해 5G 통신 기반의 원격제어 기술을 세계 최초로 선보이기도 했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두산인프라코어, 드론 측량부터 장비 운용까지...무인·자동화 건설현장 시연
기사입력:2019-11-20 18:40:0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4,110.09 | ▲23.20 | 
| 코스닥 | 900.73 | ▲9.87 | 
| 코스피200 | 579.12 | ▲3.91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4,841,000 | ▲376,000 | 
| 비트코인캐시 | 833,500 | ▼2,000 | 
| 이더리움 | 5,796,000 | ▲32,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470 | ▲50 | 
| 리플 | 3,729 | ▲15 | 
| 퀀텀 | 2,764 | ▲7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4,998,000 | ▲567,000 | 
| 이더리움 | 5,795,000 | ▲32,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460 | ▲50 | 
| 메탈 | 680 | ▲3 | 
| 리스크 | 302 | ▲2 | 
| 리플 | 3,730 | ▲13 | 
| 에이다 | 924 | ▲5 | 
| 스팀 | 125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64,850,000 | ▲450,000 | 
| 비트코인캐시 | 833,000 | ▲500 | 
| 이더리움 | 5,800,000 | ▲40,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3,460 | ▲90 | 
| 리플 | 3,731 | ▲18 | 
| 퀀텀 | 2,760 | ▲30 | 
| 이오타 | 208 | ▲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