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현대차가 어려운 국내·외 자동차시장 상황에서도 올 3분기 3785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현대자동차는 24일 서울 본사에서 2019년 3분기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을 갖고, 올해 3분기 실적은 ▲판매 110만3362대 ▲매출액 26조9689억원(자동차 20조6210억원, 금융 및 기타 6조3478억 원) ▲영업이익 3785억원 ▲경상이익 4290억원 ▲당기순이익 4605억원(비지배지분 포함) 이라고 밝혔다.
현대차의 판매실적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1.6% 감소한 수치다. 국내 시장에서는 부분변경 모델 출시를 앞둔 그랜저 판매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 줄어든 16만3322대를 판매했으며, 해외 시장에서는 북미 시장 판매 증가에도 불구하고 중국 시장 부진 지속, 인도 시장 산업수요 위축 심화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감소한 94만40대를 판매했다.
매출액은 팰리세이드 등 SUV 신차 중심의 판매 확대, 미국 시장에서의 인센티브 절감 등으로 자동차 부문 매출이 증가하고 금융 및 기타부분 매출 또한 성장세를 나타나며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한 26조9689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영업부문 비용은 쎄타2GDi 엔진 평생 보증 및 고객 만족 프로그램 시행 등으로 인한 약 6000억원의 대규모 일회성 비용 발생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0% 늘어난 4조499억원을 나타냈다.
그 결과 2019년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1.0% 증가한 3,785억 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률은 1.4%로 전년 동기 대비 0.2% 포인트 상승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고객 만족도 제고 및 품질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쎄타2GDi 엔진 평생 보증 및 미국 집단 소송 화해를 추진했다. 관련 비용에는 기존 실시 중인 KSDS(Knock Sensor Detection System) 캠페인 확대 적용 등 선제적 품질 관리를 위한 비용도 포함된다”며 “단기적인 재무 부담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객 신뢰 회복과 브랜드 가치 제고를 우선했다”고 말했다.
이어 “3분기에 대규모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제품 믹스 개선, 수익성 중심의 경영 활동 등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여기에 4분기 중 국내 시장에서 그랜저 부분변경 모델 및 제네시스 GV80 신차 출시, 팰리세이드 증산 효과 등이 더해지며 향후 수익성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3분기 누계 기준(1~9월)으로는 ▲판매 322만9669대 ▲매출액 77조9223억원 ▲영업이익 2조4411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현대차는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 등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고객 중심 경영 및 브랜드 경영을 더욱 강화하는 동시에,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신시장을 개척하고 미래 자동차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기반을 착실히 다지겠다는 방침이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현대차, 3분기 매출 26조9689억원·영업이익 3785억원 달성
기사입력:2019-10-24 15:55:19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621.36 | ▼19.21 |
코스닥 | 733.23 | ▼5.82 |
코스피200 | 349.16 | ▼2.63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692,000 | ▲669,000 |
비트코인캐시 | 556,000 | ▲4,500 |
이더리움 | 3,617,000 | ▲3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010 | ▲370 |
리플 | 3,472 | ▲16 |
이오스 | 1,115 | ▲8 |
퀀텀 | 3,387 | ▲5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834,000 | ▲946,000 |
이더리움 | 3,620,000 | ▲4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010 | ▲390 |
메탈 | 1,220 | ▲19 |
리스크 | 765 | ▲14 |
리플 | 3,473 | ▲13 |
에이다 | 1,091 | ▲13 |
스팀 | 216 | ▲5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5,730,000 | ▲650,000 |
비트코인캐시 | 555,000 | ▲5,500 |
이더리움 | 3,620,000 | ▲3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7,060 | ▲440 |
리플 | 3,470 | ▲14 |
퀀텀 | 3,298 | 0 |
이오타 | 31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