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최영록 기자] ‘자원은 유한, 창의는 무한’이라는 슬로건 아래 포스코는 창립 이듬해 제철연수원을 설립, 제철소 건설을 이끌 인재를 먼저 양성했다. 이로부터 50년이 흐른 지금 포스코는 10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사로 선정되는 등 명실상부 글로벌 리딩 기업으로 도약했다. 이는 창립부터 이어 온 남다른 인재육성 철학이 있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창립 50주년을 맞이해 새로운 경영비전 ‘With POSCO, We are the POSCO’를 선포하고, 경제적 수익뿐 아니라 공존 공생의 가치를 추구하는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기업시민’으로서 또한번의 퀀텀점프를 준비하고 있는 포스코의 인재육성에 대해 소개한다.
◆가치공유교육=포스코는 ‘더불어 함께 발전하는 기업시민’의 경영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임직원을 대상으로 ‘With POSCO Mindset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신입사원 과정에서는 실천, 배려, 창의의 인재상을 구체화한 커리큘럼으로 경주 최부자집 견학, 사회봉사, 창의사고/로봇코딩 등을 학습한다. 승진자/양성자 과정에서는 기업시민의식을 기반으로, 솔선수범하고 실천의지를 제고하는데 중점을 두고 개인별 실천계획을 수립하고 워크숍을 실시하며 3개월후 실천도를 평가한다. 임원/직책자대상으로는 월 1회 강연 프로그램 ‘PIUM’을 통해 바람직한 자세함양을 위해 명사특강을 운영하고, 5분 내외 짧은 온라인 콘텐츠도 제공해 경영리더를 육성하고 있다.
◆기술교육=포스코는 창업초기부터 ‘직원들의 지식과 기술을 세계적 수준에 도달시킨다’는 경영방침에 따라 철강 기술인력의 자체양성에 힘써오고 있다. 현장직원은 현장기술인력 육성체계의 5단계 필요역량 레벨에 따라 직무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개인별 수준에 맞는 이러닝, 집합교육 등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받는다. 엔지니어 기술교육은 직급별 필수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교육과 전문역량 향상을 위한 부서 맞춤형 교육으로 운영되고 있다. 필수교육 체계는 공통기술, 전문기술, 현장관리(리더십역량)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서 맞춤형 교육은 각 부서의 특화된 교육니즈를 반기단위로 조사해 즉시성 있는 교육을 지원한다.
◆신뢰/소통교육=포스코는 신뢰와 창의의 조직문화 구현을 위한 교육도 운영중이다. 주 52시간 근무제도 하에서는 일하는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이는 리더십의 변화와 소통문화 정착이 필수적이다. 현장 직책자를 대상으로 소통역량 향상과정, 상담형 전화코칭을 운영중이며, 조직내 신뢰증진을 위한 전파교육 콘텐츠도 개발해 제공하고 있다. 세대/계층간 공감프로그램도 활성화하고 있다. 회사내 주류층이 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 이해를 위해 저근속직원과 직책자가 함께 참가해 서로의 이야기를 듣고 공감하는 교육과정인 ‘톡톡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연간 1,500명이 참여해 세대간, 계층간 차이를 이해하고, 상호이해를 증진시키고 있다. 부서단위 소통활동을 통한 조직문화 개선 ‘공감플러스워크숍’에서는 구성원간 인식차/조직문화를 진단하고 공감가치와 행동규범을 도출하고 있다.
◆글로벌교육=포스코는 글로벌 역량강화와 해외법인의 ‘With POSCO Mindset’ 구현을 위해 현지직원 교육 체계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해외법인의 HRD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글로벌표준콘텐츠(POSCO GTaLK)를 총 4개 언어(英/中/日/韓)로 제작해 60개 법인에 배포해 활용중이다. 현지법인에서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교육과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With POSCO 경영이념’ 등의 가치공유, ‘포스코型 성과관리’ 등 리더십 분야, 철강공정 등 직무/기술분야 총 36개 과목의 강의교안과 참고영상을 제공한다.
◆상시교육(이러닝)=포스코는 다각적인 상시교육체계를 구축해 임직원의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고 있다. PC기반 이러닝 학습을 위한 e-Campus, 모바일 기반의 u-Campus, 마이크로러닝 플랫폼인 포스킷(POSCuit)을 운영중이다. 모바일 캠퍼스를 통해서는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데이터 분석기법을 적용해 학습자에게 5분 내외의 적합한 영상 콘텐츠를 추천하는 마이크로러닝을 통해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현재 가치공유, 경영전략, 리더십, 직무전문, 인문역사, 컬쳐&라이프, 최신 트렌드 분야 1,400개 과정을 운영중이며, 최근에는 포스코 유튜브채널을 통해 직원들이 크리에이터로 참여해 자신의 업무 노하우와 아이디어를 담은 학습 콘텐츠를 제작해 공유하고 있다.
◆청년 취 창업 프로그램=포스코는 청년인재를 육성해 취업 및 창업 지원을 약속하면서 ‘기업실무형취업교육’과 ‘청년AI·빅데이터아카데미’, ‘창업인큐베이팅스쿨’ 3가지 취·창업 프로그램을 지난해 말 신설했다. ‘기업 실무형 취업교육’은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포스코에서 직접 취업과 관련된 교육을 제공해주는 프로그램이며, ‘청년AI·빅데이터아카데미’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스마트기술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창업 인큐베이팅 스쿨’은 창업전 단계에서 성공적인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올해 본격적으로 시작한 포스코의 취 창업 프로그램은 8월까지 ‘기업실무형취업교육’과 ‘청년AI·빅데이터아카데미’, ‘창업인큐베이팅스쿨’에 각 561명, 146명, 64명씩 총 771명이 입과해 ‘기업실무형 취업교육’을 수료한 청년 97명, ‘청년AIㆍ빅데이터아카데미’ 수료자 32명이 취업에 성공했다.
◆협력사 취업지원 교육=‘협력사 취업지원 교육’ 과정은 협력사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 구직자들을 모집해 2개월간 회사 생활에 필요한 기본 소양과 기술역량을 집중교육 후 협력사 채용까지 연계하는 협력사 채용지원 프로그램이다. 포스코는 ‘협력사 취업지원 교육’ 과정을 통해 2005년부터 2018년까지 14년간, 1189명의 청년을 교육하고, 1156명과 일자리를 연결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청년 구직자 121명을 교육하고, 114명을 협력사 취업에 연계함으로써 우수인력 확보가 어려운 중소 및 협력기업을 지원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해 12월 포스코는 청년 구직자 대상 상생일자리 교육 우수기업으로 선정되어 동반성장위원회로부터 표창장과 감사패를 받았다. 올해는 8월까지 125명이 교육을 수료하고 103명이 협력사에 취직했으며, 현재 83명이 교육을 받고 있다.
◆컨소시엄 교육=컨소시엄 교육은 대기업의 우수한 교육 인프라를 활용해 중소기업 직원들에게 양질의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정부 지원 교육사업이다. 포스코는 2005년 컨소시엄 교육사업을 도입한 이래 올해 8월까지 477개사와 협약을 맺고 59만여명의 직원들을 교육해 중소기업 인재양성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포스코는 지난해에 협력사 및 중소기업 328개사의 임직원 5만3,863명에게 유공압제어, 전기용접 등 정비기술과 혁신·안전·품질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 교육 인프라가 부족한 중소기업들이 인적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18년 중소기업 컨소시엄 교육사업 평가’에서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됐다.
최영록 로이슈(lawissue) 기자 rok@lawissue.co.kr
포스코, ‘인재경영’ 통해 글로벌 리딩 기업 도약
기사입력:2019-09-25 16:58:4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9.79 | ▲3.18 |
코스닥 | 721.86 | ▲4.62 |
코스피200 | 338.79 | ▲0.5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458,000 | ▼113,000 |
비트코인캐시 | 523,000 | ▼1,000 |
이더리움 | 2,631,000 | ▲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730 | ▲30 |
리플 | 3,152 | 0 |
이오스 | 1,033 | ▼14 |
퀀텀 | 3,04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446,000 | ▼154,000 |
이더리움 | 2,631,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3,720 | ▲20 |
메탈 | 1,160 | ▼13 |
리스크 | 745 | ▲2 |
리플 | 3,152 | ▼1 |
에이다 | 1,005 | ▼7 |
스팀 | 20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7,410,000 | ▼70,000 |
비트코인캐시 | 522,000 | ▼1,000 |
이더리움 | 2,630,000 | ▲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730 | ▲30 |
리플 | 3,153 | ▲1 |
퀀텀 | 3,031 | ▼10 |
이오타 | 29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