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노지훈 기자] 질병관리본부는 국내생산 탄저백신 개발을 위하여 질병관리본부 용역사업으로 수행된 임상2상(서울대학교 오명돈 교수) 시험의 안전성 및 유효성 결과가 2019년 5월 28일 백신분야 저명 저널인 백신에 게재됐다고 12일 밝혔다.
질병관리본부는 1998년 탄저백신후보 물질 및 생산균주를 자체개발하여 특허를 취득한 바 있으며, 2002년부터 (주)녹십자를 통해 용역사업으로 생산공정개발 및 비임상시험 등 제품화를 수행하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2009년 임상1상, 2012년 임상2상(스텝1) 시험을 완료했다.
임상2상 시험에서는 건강한 성인 104명을 대상으로 백신접종 후 주사부위 통증, 두통, 발열, 복통, 오한과 같은 안전성 평가와 백신접종군에서 형성된 항체 측정을 통한 효능평가가 실시됐는데 안전성 평가 결과, 백신접종군의 부작용 발생률은 위약군(Placebo)과 차이가 없으며 접종 후 탄저감염에 대한 방어항체가 형성됨이 확인됐다.
개발된 탄저백신은 탄저균의 방어항원을 주성분으로 한 재조합백신으로 대량생산 효과가 뛰어난 비병원성균주인 바실러스 브레비스를 발현시스템으로 사용함에 따라 안전성이 확보되고 경제성도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탄저는 사람 및 가축에서 발생되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생물테러 등에 악용될 가능성이 높아 이에 대한 국가적 대비가 필요한 상황이며 현재 미국에서는 바이오스락스(BioThrax) 백신, 영국에서는 에이브이피(AVP) 백신이 허가를 받아 탄저 예방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한편 같은 날 질병관리본부장은 "임상시험 후 제품 승인이 완료되면 유사시를 대비한 탄저백신 생산 및 비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노지훈 로이슈(lawissue) 기자 news@lawissue.co.kr
질본, '국산 탄저백신 임상 2상 효과 입증'
기사입력:2019-07-12 14:30:20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395.54 | ▲51.34 |
코스닥 | 847.08 | ▲12.32 |
코스피200 | 462.74 | ▲8.74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139,000 | ▲41,000 |
비트코인캐시 | 823,000 | ▼500 |
이더리움 | 6,366,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190 | ▼120 |
리플 | 4,213 | ▲14 |
퀀텀 | 3,481 | ▲1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047,000 | ▲46,000 |
이더리움 | 6,366,000 | ▼1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250 | ▼120 |
메탈 | 1,043 | ▲6 |
리스크 | 526 | ▲1 |
리플 | 4,210 | ▲13 |
에이다 | 1,230 | 0 |
스팀 | 187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050,000 | ▼90,000 |
비트코인캐시 | 821,500 | ▼2,500 |
이더리움 | 6,360,000 | ▼30,000 |
이더리움클래식 | 29,150 | ▼140 |
리플 | 4,209 | ▲14 |
퀀텀 | 3,460 | 0 |
이오타 | 269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