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심준보 기자]
KB증권은 지난 2017년 말부터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업무 자동화)를 도입하기 시작해 현재까지 100여개 업무에 적용, 연간 업무시간 기준으로 약 2만시간을 절감했다고 29일 밝혔다.
KB증권에 따르면 RPA는 사람이 반복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단순 업무를 로봇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화하는 솔루션을 말한다.
예를 들어 IB부문 채권 발행∙인수업무(DCM) 담당 부서의 경우 법규상 공시서류 별로 동일하게 기재해야 하는 내용을 과거에는 직원이 목차별로 일일이 작성해야 했으나, 현재는 RPA로 자동화하여 공시서류 1건당 약 20분~30분씩 업무시간을 절감하고 있다고 KB증권측은 설명했다.
또한, 최근 개설한 리서치센터 홈페이지에는 업종별 데이터 취합/정리, 데이터베이스 저장, 리포트 게시 등의 과정에 RPA가 적용되고 있다. 국내외 방대한 투자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정리하고 게시해야 하는 단순 수작업 반복업무를 현재 RPA가 다수 담당하고 있다. RPA는 정규 근무시간과 관계없이 자동으로 업무를 처리하기 때문에 직원들의 업무효율 향상과 업무시간 감축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KB증권은 RPA 적용 업무를 확대하여 직원들의 스마트 워킹(Smart Working)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다양한 계획을 추진 중이다. 스마트 워킹은 KB금융그룹의 2019년 경영전략 방향인 RISE 2019 중 하나이기도 하다.
우선 하반기에는 서버급 RPA를 포함하여 AI(인공지능) 접목 등 RPA 고도화를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버급 RPA는 전사적으로 다수 직원이 하는 단순 반복업무를 서버를 통해 처리하는 것으로 현재 직원 개별 PC에 적용된 RPA를 서버급으로 격상하면 보다 많은 직원의 효율적 업무수행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AI를 통한 문서학습 및 챗봇 연계 등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2017년 말 직원들의 소규모 스터디그룹으로 출발한 RPA 사내 전문가 그룹(RPA CoE, Center of Excellence)은 2018년에 약 30여건의 업무를 직접 제안 및 적용하여 현업 RPA 전문가 양성의 초석이 되고 있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지난 4월부터는 보다 많은 직원들에게 참여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RPA IDEA 업무적용 경진대회’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개발자가 아닌 25명의 현업부서 실무자들이 아이디어 제출, RPA 교육수료를 거쳐 현재 부서업무 자동화를 구현하고 있으며 향후 평가를 통해 대표이사 포상, 해외 디지털 컨퍼런스 참관기회 부여 등 시상을 할 예정이다.
김재봉 KB증권 디지털혁신본부장은 “RPA는 단순히 직원 업무량을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 영업, 기획 등 고부가가치 업무에 직원이 집중하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서버형 RPA까지 구축 완료되면, 6월 도입 예정인 사내업무 챗봇 등 다른 디지털혁신 영역과 함께 추가적인 Work-diet 시너지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심준보 기자 sjb@rawissue.co.kr
KB증권 “RPA로 공시서류 작성해 업무 연 2만시간 절감”
기사입력:2019-05-29 18:11:4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147,000 | ▼530,000 |
비트코인캐시 | 523,500 | ▼6,000 |
이더리움 | 2,555,000 | ▼5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10 | ▼280 |
리플 | 3,159 | ▼55 |
이오스 | 977 | ▼15 |
퀀텀 | 3,107 | ▼3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153,000 | ▼574,000 |
이더리움 | 2,556,000 | ▼5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20 | ▼250 |
메탈 | 1,203 | ▼16 |
리스크 | 767 | ▼12 |
리플 | 3,157 | ▼60 |
에이다 | 988 | ▼18 |
스팀 | 215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6,210,000 | ▼490,000 |
비트코인캐시 | 523,500 | ▼6,500 |
이더리움 | 2,555,000 | ▼5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960 | ▼230 |
리플 | 3,160 | ▼55 |
퀀텀 | 3,100 | 0 |
이오타 | 295 |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