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의원, 국내회계법인 감사보고서 정정실태 여전

감사보고서 정정 횟수, 해마다 증가 기사입력:2018-10-12 19:22:33
전재수 국회의원.(사진제공=전재수의원실)

전재수 국회의원.(사진제공=전재수의원실)

이미지 확대보기
[로이슈 전용모 기자] 국내회계법인들의 감사보고서 정정 실태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무위원회 소속 전재수 국회의원(부산 북·강서구 갑, 더불어민주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최근 3년간(2016~2018.8) ‘국내회계법인 감사보고서 정정내역’을 분석한 결과, 2016년부터 2018년 8월까지 국내회계법인의 감사보고서 정정된 횟수는 총 4428건에 이르고 매년 증가(2016년 1417건, 2017년 1493건, 2018년 8월 1518건)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먼저 개별감사보고서 정정 횟수의 경우 2016년(1229건)과 2017년(1233건)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018년 들어서면서 급격히 늘어나 올해 8월 기준으로 1281건을 기록했다. 이 추세대로 간다면 지난 2015년(1402건)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연결감사보고서 정정 횟수는 2016년 188건에서 2017년 260건, 2018년 8월 기준 237건으로 개별감사보고서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올해의 경우 1월부터 8월까지의 건수임을 감안한다면 올 연말에는 앞자리 수가 달라질 가능성도 높다.

감사보고서 정정이 논란을 빚는 이유는, 대규모 영업손실 등 기업의 중요한 사항에 관해 정정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차바이오텍, 메디포스트. CMG 제약 등 6개 바이오 기업은 연구개발비용 상당분을 자산으로 처리해온 관행이 문제가 되자, 연구개발비 자산화 요건을 강화한 재무제표를 재작성한 후 감사보고서를 정정했다.

이 정정보고서에 따르면 차바이오텍의 경우 지난해 1억원 흑자를 보였던 영업이익은 67억 원 적자로 전환됐고, 연구개발비는 251.1% 증가했다. 메디포스트의 영업손실폭 또한 500만원 수준에서 36억원으로 크게 악화됐다.

전재수 의원은 “기업을 판단할 때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는 감사보고서의 지나치게 잦은 정정은 결국 해당 회계법인은 물론 기업에 대한 신뢰를 해치게 된다”며 “제출 이후 정정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사전에 더욱 철저한 검증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용모 기자 sisalaw@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15 ▼0.46
코스닥 722.15 ▲4.91
코스피200 338.33 ▼0.41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40,001,000 ▲144,000
비트코인캐시 521,000 ▼1,500
이더리움 2,662,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550 ▼20
리플 3,202 ▲5
이오스 1,005 ▼12
퀀텀 3,184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998,000 ▲116,000
이더리움 2,662,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530 ▼30
메탈 1,218 ▼1
리스크 789 ▼3
리플 3,203 ▲5
에이다 1,021 ▼1
스팀 214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910,000 ▲30,000
비트코인캐시 521,500 ▼2,500
이더리움 2,658,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530 ▼40
리플 3,201 ▲2
퀀텀 3,190 0
이오타 300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