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산업 수출액 60억 달러 최초 돌파… 주목할 만한 콘텐츠는?

기사입력:2018-06-26 12:46:29
[로이슈 편도욱 기자] 최근 국내 문화콘텐츠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1일 발표한 ‘2017 콘텐츠산업 통계조사’에 따르면 2016년 기준 국내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전년 대비 6.1% 증가한 60억 806만 달러로 60억 달러를 최초로 돌파했다.

매출액 또한 전년 대비 5.0% 증가한 105조 5,107억원을 기록하며 전 산업 부문에서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특히 애니메이션(10.9%)과 캐릭터(9.8%) 부문이 높은 매출액 증가율을 보인 것은 물론, 수출액 또한 7.2%, 11.1%씩 증가하며 콘텐츠산업계의 다크호스로 급부상하고 있다.

■ K-애니메이션, 한국 넘어 세계를 사로잡다

▲중국 동영상 누적 70억 뷰를 기록한 <최강전사 미니특공대>, 삼지애니메이션 <미니특공대X>

▲중국 동영상 누적 70억 뷰를 기록한 <최강전사 미니특공대>, 삼지애니메이션 <미니특공대X>

이미지 확대보기


국내 3D 애니메이션 제작사 삼지애니메이션의 ‘미니특공대’ 시리즈는 한국을 넘어 중국과 동남아시아까지 사로잡으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2016년 3월부터 중국 대표 인터넷 동영상 플랫폼을 통해 VOD 서비스를 시작해 4개월 만에 조회 수 10억 뷰를 돌파하며 성공적인 중국 진출을 알린 미니특공대 시즌1 ‘최강전사 미니특공대’는 현재까지 누적 조회수 70억 뷰(2018년 6월 기준)를 기록하며 선풍적인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최강전사 미니특공대는 중국에서의 인기에 이어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권으로 뻗어 나가며 11개 언어로 방영 중에 있으며, 2018년에는 아마존 프라임 서비스를 비롯, 중동, 유럽, 중남미 TV 방영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확장할 예정이다.

한편, 한층 업그레이드된 미니특공대의 모습을 담은 뉴시즌 ‘미니특공대X’는 현재 중국 지역의 미디어 방영, 라이선싱 및 완구 등의 사업 전개를 추진 중에 있으며, 중국을 교두보로 2018년에는 러시아, 유럽, 동남아 등 전 세계 진출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확장할 계획이다.

▲왼쪽부터 오로라월드 <유후와 친구들>, CJ E&M <로봇트레인>

▲왼쪽부터 오로라월드 <유후와 친구들>, CJ E&M <로봇트레인>

이미지 확대보기

캐릭터 완구 콘텐츠 기업 오로라월드는 자체 개발한 대표 캐릭터 ‘유후와 친구들’을 앞세워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의 장기 흥행을 지속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유후와 친구들은 현재까지 60여 개국에서 방송된 것은 물론, 지난해 9월부터는 넷플릭스를 통해 시즌 1, 2의 전 세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며 글로벌 인기를 입증했다.

흥미로운 스토리와 개성 넘치는 희귀동물 캐릭터들로 공전의 히트를 기록 중인 유후와 친구들은 현재 넷플릭스와 함께 3D 버전을 공동 개발 및 제작하고 있으며 올 하반기에 전 세계 190개국에 영어, 아랍어, 중국어 등 20개 언어로 방영될 예정이다. 오로라월드는 또한 중국 청도출판과 손잡고 오래 하반기 상하이와 베이징 등에 ‘유후와 친구들’ 첫 테마파크를 개장할 계획이다.

방영 전부터 해외시장에 판매되어 눈길을 끄는 토종 애니메이션도 있다. 올해 방영을 목표로 하고 있는 CJ E&M의 ‘로봇트레인 시즌2’는 국내 방영 전부터 해외 4개국에 선판매 되는 쾌거를 이뤘다. 기차와 변신 로봇을 결합한 캐릭터로 유럽 동심을 사로잡은 로봇트레인은 지난해 프랑스, 러시아, 홍콩에서 완구를 출시하며 보다 많은 어린이들을 찾아가고 있다.

■ 토종 캐릭터, 글로벌 캐릭터로 도약

▲왼쪽부터 라인프렌즈 플래그십 스토어 하라주쿠점, CJ E&M-부즈 <뿌까>, 스티키몬스터랩x르꼬끄골프

▲왼쪽부터 라인프렌즈 플래그십 스토어 하라주쿠점, CJ E&M-부즈 <뿌까>, 스티키몬스터랩x르꼬끄골프

이미지 확대보기

모바일 메신저 라인(LINE)의 이모티콘 캐릭터로 처음 탄생해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는 ‘라인프렌즈’는 다양한 캐릭터 사업을 통해 글로벌 시장 영향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라인프렌즈는 지난해 8월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에 라인프렌즈 플래그십 스토어 뉴욕점을 열었으며, 올해 3월 캐릭터의 본고장인 일본에 글로벌 100번째 플래그십 스토어인 하라주쿠점을 오픈하는 등 글로벌 캐릭터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보여주고 있다.

캐릭터 비즈니스 전문회사 부즈(VOOZ)는 대표 캐릭터 ‘뿌까’의 재도약을 위해 CJ E&M과 손을 잡았다. 최근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이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8 해외한류실태조사’에서 캐릭터 선호도 1위를 차지하며 세계적인 인기를 입증한 뿌까는 코미디 액션 로맨스 장르의 ‘뉴 뿌까’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제작돼 올 하반기 방영될 계획이다. 뿌까 캐릭터의 글로벌 시장 공략은 CJ E&M과 부즈가 각각 주력해온 지역을 권역별로 나눠 전략적으로 캐릭터 사업을 진행한다.

신제품을 출시할 때마다 완판 행진을 이어가는 캐릭터도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디자인 스튜디오 중 하나인 ‘스티키몬스터랩’은 심플하면서 독특한 캐릭터로 해외 팬들을 모으고 있다. 스티키몬스터랩은 2007년부터 내로라하는 글로벌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소비자 접점을 확대해나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리노스 이스트팩, 르꼬끄골프 등과의 한정판 콜라보레이션 상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지난 8일 홍콩에서 스티키몬스터랩 10주년 기념 전시회, 23일에는 중국 상해에서 사인회를 포함한 전시회를 개최하는 등 글로벌 팬들을 위한 행사도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편도욱 기자 toy1000@lawissue.co.kr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2,556.61 ▼8.81
코스닥 717.24 ▼9.22
코스피200 338.74 ▼0.32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138,000 ▼276,000
비트코인캐시 523,000 0
이더리움 2,659,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460 ▲50
리플 3,200 ▼3
이오스 996 ▲4
퀀텀 3,194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206,000 ▼113,000
이더리움 2,658,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4,430 ▲20
메탈 1,215 ▼1
리스크 792 ▲2
리플 3,200 ▼7
에이다 1,020 ▲2
스팀 217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39,160,000 ▼130,000
비트코인캐시 524,000 ▲1,000
이더리움 2,657,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410 ▼10
리플 3,200 ▼4
퀀텀 3,190 ▲35
이오타 304 0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