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영삼 기자] 지난해 연달아 발표된 부동산대책으로 아파트 일반분양 청약이 까다로워지면서 무주택•저소득층 우대 등 공공성이 강화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이 수요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
기업형 임대주택이었던 ‘뉴스테이’가 올 들어 주거 취약 계층에 대한 혜택을 강화하면서 명칭도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으로 바뀌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전국의 아파트 평균 월세가격은 지난해 12월 기준 69만2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72% 상승했다. 특히 서울의 경우 평균 106만4000원으로, 1년 새 19.02%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경기 15.77% ▲인천 11.04% ▲부산 5.07% ▲대전 5.34% ▲강원 13.35% ▲충북 11.61% ▲전북 10.07% ▲전남 24.08% ▲경남 1.25% 등으로, 대부분 상승했다.
특히 지난해 11월과 12월 사이 평균 월세가 크게 올랐다. 전국적으로 한 달 새 10.90% 상승했고 서울은 19.42%, 수도권은 16.84% 등의 상승률을 각각 기록했다. 서울 내에서도 강북지역은 22.14%, 강남지역은 17.97% 등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강남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아파트값 역시 상승세다.
부동산114에 의하면 1월 둘째주(8~12일)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57% 올랐다. 이는 8.2 부동산 대책 직전인 지난해 7월 28일 기준 상승률(0.57%)을 회복한 수준이다. 이어 송파(1.19%) 강남(1.03%) 양천(0.95%) 서초(0.73%) 강동(0.68%) 동작(0.38%) 성동(0.38%)구 순으로 매매가가 올랐다.
가격뿐만 아니라 1순위 자격 강화, 청약가점제 확대 등으로 서울 등 조정지역의 청약이 어려워지는 가운데, 분양조건이 안 되는 수요자들이 서울에서 수년간 이사걱정 없이 지낼 수 있는 기회로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이 뜨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의하면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은 8년 거주 보장, 연 5% 이내 임대료 인상 제한 등 기존 뉴스테이의 장점은 유지하고 공공성을 추가했다.
전 가구를 무주택자에게 우선 공급하고 월 임대료는 일반공급 시세 대비 90~95% 수준이다.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 ▲19~39세 1인 가구 ▲65세 이상 고령층 등 주거지원계층을 위해 전 가구의 20% 이상 물량을 배정해 시세의 70~85%로 공급한다.
권강수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이사는 “서울지역의 평균 아파트 월세와 집값의 상승세가 지난해 말 계속되면서 올해도 이어질 기세”라며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은 높은 월세, 까다로운 청약조건 등으로 인해 서울에서 밀려났던 수요자들이 이른바 ‘인(in)서울’을 실현할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부터 공급에 나서는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 중 첫 단지가 서울에서 선보인다.
범양건영과 동부건설은 이달 말 서울시 구로구 개봉동 222번지(구 한일시멘트 부지)에서 ‘개봉역 센트레빌 레우스’의 임차인을 모집한다. 지하 2층~지상 최고 35층, 8개 동, 총 1,089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조성되며 금회는 871세대를 공급할 예정이다. 주택형은 전용면적 59~84㎡ 등(금회공급 : 74㎡~84㎡) 이다. 입주민은 8년간 거주할 수 있으며 보증금 및 월 임대료의 연간상승률은 2.5%이내로 제한된다.
지하철 1호선 개봉역이 도보로 3~5분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개봉근린공원이 인접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다. 교육여건으로는 단지 내 국공립어린이집이 운영될 예정이며 고척초•고원초•경인중•고척중•경인고교 등이 근처에 자리 잡고 있다. 2001아울렛, 고척스카이돔, 가산디지털단지, 구로디지털단지 등 기존 도심의 주요업무시설 및 생활편의시설도 가깝다.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은 전국적으로 예정돼 있다.
서한은 올 상반기 대구 달서군 구지면 창리 대구국가산업단지 A2-2블록에서 ‘대구국가산단 서한이다음’을 공급할 예정이다. 최고 25층, 총 1038가구 규모로 지어지며 주택형은 전용면적 66~84㎡ 등으로 조성된다. 단지 앞에 세현초•구지중학교 등이 마련된다.
계룡건설은 오는 3월 경남 김해 율하2지구 A2블록에 ‘율하지구 리슈빌’의 임차인을 모집할 계획이다. 전용면적 55•59㎡ 크기의 총 974가구를 공급한다. 단지 인근에 초등학교 및 중학교가 예정돼 있고 근린공원도 이용 가능하다.
롯데건설은 오는 7월 경기 김포한강신도시 Ab22블록에서 ‘김포한강 롯데캐슬’ 공급에 나설 예정이다. 지하 1층 및 지상 5~8층, 31개동, 총 912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전용면적은 67㎡와 84㎡로 이뤄진다. 단지로부터 반경 500m 내에 운양초•운양고교 등이 있고 어린이집도 가깝다.
포스코건설은 올 9월 인천 부평구 십정2구역 일원에서 ‘인천 십정2구역 더샵’의 임차인을 모집할 계획이다. 지상 최고 49층, 총 5695가구 규모로 예정돼 있다. 단지 인근에 하정초•십정초교 등이 있고 십정녹지공원이 인접해 있다. 지하철 1호선 동암역도 이용 가능하다.
김영삼 기자 yskim@lawissue.co.kr
저렴한 임대료에 청약 문턱 확 낮춘 공공지원주택 '관심'
기사입력:2018-01-17 19:41:47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2,556.61 | ▼8.81 |
코스닥 | 717.24 | ▼9.22 |
코스피200 | 338.74 | ▼0.3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871,000 | ▲81,000 |
비트코인캐시 | 528,000 | ▲2,000 |
이더리움 | 2,562,000 | ▲3,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20 | ▲30 |
리플 | 3,145 | ▲19 |
이오스 | 975 | ▲6 |
퀀텀 | 3,084 | ▲16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840,000 | ▼40,000 |
이더리움 | 2,560,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3,830 | ▲110 |
메탈 | 1,203 | ▲6 |
리스크 | 768 | ▼5 |
리플 | 3,144 | ▲16 |
에이다 | 987 | ▲4 |
스팀 | 216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35,830,000 | ▲40,000 |
비트코인캐시 | 527,500 | ▲1,000 |
이더리움 | 2,560,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00 | 0 |
리플 | 3,145 | ▲19 |
퀀텀 | 3,065 | 0 |
이오타 | 296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