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김영삼 기자] 지난 2일 경륜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삼쌍승식의 인기가 심상찮다. 삼쌍승식은 1위부터 3위까지 선수를 순위까지 맞추는 상품으로 다른 승식에 비해 적중확률이 낮은 대신 적중했을 때의 재미가 높은 상품으로 소액으로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베팅방식은 결승선에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로 도착할 선수를 한조로 베팅하면 된다.
이날 경륜 고객들은 많은 관심과 구매를 통해 새로운 상품 도입을 환영했다. 삼쌍승식 운영 첫날인 지난 2일, 승식별 매출 점유율 중 삼쌍승식은 삼복승식, 쌍승식에 이은 세 번째를 차지했다. 특히 낮은 적중확률에 고액 베팅 보다 소액 베팅 위주로 새로운 상품을 이용하는 모습을 보여 경륜사업의 건전화에 신규 승식이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 경륜에서 시행되고 있는 승식은 총 5가지였다. 1994년 단, 복승식 운영을 시작으로 1995년 쌍승식 운영, 1997년 연승식 운영, 2004년 삼복승식이 추가되었다. 제일 마지막에 추가된 삼복승이 지난 2004년에 실행되었음을 고려할 때 이번 삼쌍승식은 13년 만의 승식 변화다.
‘삼쌍승식’은 단일 경주에서 1∼3위로 들어올 선수를 순서대로 정확히 적중시키는 방식으로 적중확률은 7명이 출전하는 경우 1/210, 8명이 출전하는 경우 1/336이다. 그 동안 시행해온 연승(2/7), 단승(1/7), 복승(1/21), 삼복승(1/35), 쌍승(1/42)식과 비교해 적중확률이 낮고 기존 승식 중 적중확률이 가장 낮은 쌍승식에 비해서도 5~6배 낮은 적중률이다. 적중이 어려운 만큼 적은 금액으로도 높은 상금을 기대해볼 수 있는 승식이다.
‘삼쌍승식’은 일본에서 경마매출의 32%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만큼 인기 있는 베팅 방식이다. 프랑스, 싱가포르, 홍콩 등 경마 선진국에서도 승식 다양화 추세에 발맞춰 삼쌍승식을 시행하고 있다. 이번에 도입된 삼쌍승식은 광명, 창원, 부산 경륜에서 시행되는 모든 경주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정부의 전자카드 활성화 정책에 부응하여 전자카드로만 구매가 가능하다.
지금까지 승식별 매출점유율 순서는 삼복승식(약49%), 쌍승식(약41%), 복승식(약8%), 단·연승식(약0.1%) 순이었다. 삼쌍승식은 삼복승식과 쌍승식이 상호 보완적인 운영결과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승식이 될 전망이다.
경륜위너스 박정우 예상부장은 “고객성향 및 세계적 추세에 맞춰 삼쌍승식을 본격 시행하는 일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며 “낮은 적중확률로 인해 일확천금을 노리는 고객보다 소액으로 큰 재미를 추구하는 20~50세 젊은 고객부터 중년 고객들의 접근이 많을 것이라 기대된다”고 덧붙였고 “삼쌍승식 베팅요령으로 축 선정이 중요하고, 이변 전략으로는 축 뒤집기와 3위 선수를 요주의 선수로 받칠 경우 행운이 따를 수 있다”고 전했으며 “차권 선택의 폭이 더욱 넓어져 경륜팬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했는데 소액 구매 분산 전략을 통한 건전 경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영삼 기자 yskim@lawissue.co.kr
경륜, 신규 삼쌍승식 도입 성공적
기사입력:2017-12-04 18:41:15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30.57 | ▲21.05 |
코스닥 | 804.45 | ▲0.50 |
코스피200 | 435.84 | ▲2.47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199,000 | ▼4,000 |
비트코인캐시 | 779,000 | ▼2,500 |
이더리움 | 5,264,000 | ▼27,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00 | ▲110 |
리플 | 4,319 | ▲10 |
퀀텀 | 3,168 | ▲6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199,000 | ▲34,000 |
이더리움 | 5,268,000 | ▼19,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510 | ▲110 |
메탈 | 1,069 | ▲6 |
리스크 | 616 | ▼1 |
리플 | 4,323 | ▲13 |
에이다 | 1,095 | ▲2 |
스팀 | 195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3,250,000 | ▲50,000 |
비트코인캐시 | 780,500 | ▼2,000 |
이더리움 | 5,265,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30,460 | ▲70 |
리플 | 4,320 | ▲12 |
퀀텀 | 3,105 | ▼22 |
이오타 | 28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