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는 지난 17일부터 21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 ‘2025 유럽종양학회 연례학술대회(ESMO)’에서 셀랩메드가 개발 중인 IL13Rα2 CAR-T 치료제(코드명, CLM-103)의 임상 1상 결과를 구연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재발성 악성 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한 IL13Rα2 CAR-T 세포치료제의 임상 1상 연구: 임상 결과 및 체내 작용 분석(Phase I trial of an IL13Rα2-targeted CAR-T cell therapy for recurrent malignant glioma: Clinical results and pharmacokinetics)”라는 제목으로 임상시험 책임자인 국립암센터 신경외과 곽호신 교수가 직접 발표했으며, 국내 고형암을 대상으로 한 CAR-T 치료제의 최초 임상시험 사례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또한 이번 연구는 항원인지 부분을 개선한 CAR-T 치료제를 정맥투여로 뇌암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 임상 사례 중 하나로, 의료계의 주목을 받았다.
국립암센터는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재발한 악성 뇌교종 환자를 대상으로 뇌종양 세포 표면에 많은 IL13Rα2(아이엘13리셉터알파2, 인터루킨-13 수용체 알파2)라는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CAR-T 치료제의 안전성 및 내약성(부작용을 견디는 정도)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 1상 시험을 수행했다. 그 결과, 재발성 악성 교모세포종 환자에게 정맥으로 투여했을 때 우수한 안전성과 내약성이 확인됐다.
임상은 국립암센터 단독으로 진행된 연구로, 치료가 어려운 악성 뇌종양 환자(WHO 기준 3~4등급) 10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환자들은 IL13Rα2 단백질이 있는지 확인한 뒤, 자신의 면역세포를 이용해 제작한 CAR-T 세포를 일회 정맥주사로 투여받았다.
투여된 CAR-T 세포는 평균 7일(범위 3~14일)에 활성-증폭되어 혈중 최고 농도에 도달했으며, 고용량군 일부 환자의 뇌척수액에서도 검출되었는데 이는 정맥으로 투여된 CAR-T 세포가 중추신경계까지 전달되었음을 확인한 중요한 결과다.
종양 반응 평가에서는 6명의 환자가 3개월 추적관찰에 포함되었고, 이 중 3명에서 암이 악화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했다. 전체 환자 중 9명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암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은 기간의 중앙값은 2.6개월, 환자가 생존한 전체 기간의 중앙값은 10.9개월로 다른 고전적 치료법에 비해 우수한 생존기간을 보였다.
국립암센터 곽호신 교수는 “기존 CAR-T 치료제들이 혈액암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온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고형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사례로, 특히 교모세포종처럼 치료가 어려운 뇌종양에 대한 면역치료 전략을 새롭게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 전처리요법 최적화, 뇌척수액 주입을 포함한 투여 경로 및 암종의 다양화 및 반응 예측 바이오마커 개발을 통해 후속 임상 연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임상시험용 CAR-T 개발을 담당했던 셀랩메드 관계자는 “암 치료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유럽종양학회(ESMO) 연례학술대회에서 발표된 3,000여 편의 초록 중 단 200여 편만이 구두 발표로 선정됐는데, 그 중 하나로 채택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곽호신 교수팀과 협력해 후속 임상을 성공적으로 이어가고, 재발성 악성 교모세포종 환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혁신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국립암센터, 재발성 뇌종양 정맥 CAR-T로 안전성 입증
기사입력:2025-10-29 17:18:1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 코스피 | 3,883.96 | ▼69.66 |
| 코스닥 | 859.88 | ▼18.82 |
| 코스피200 | 546.01 | ▼10.44 |
가상화폐 시세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36,977,000 | ▼676,000 |
| 비트코인캐시 | 770,500 | ▼5,000 |
| 이더리움 | 4,588,000 | ▼36,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550 | ▼170 |
| 리플 | 3,267 | ▼14 |
| 퀀텀 | 2,573 | ▼11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37,019,000 | ▼525,000 |
| 이더리움 | 4,591,000 | ▼3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610 | ▼100 |
| 메탈 | 627 | ▼3 |
| 리스크 | 340 | ▼10 |
| 리플 | 3,270 | ▼12 |
| 에이다 | 699 | ▼6 |
| 스팀 | 114 | 0 |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 비트코인 | 136,920,000 | ▼710,000 |
| 비트코인캐시 | 768,500 | ▼9,500 |
| 이더리움 | 4,589,000 | ▼34,000 |
| 이더리움클래식 | 21,580 | ▼80 |
| 리플 | 3,268 | ▼13 |
| 퀀텀 | 2,561 | 0 |
| 이오타 | 191 | ▼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