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한전KDN은 협력사와의 협업을 통해 자체적 전원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활용한 Smart Sensing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한전KDN은 지난 10일 비대면으로 진행된 ‘동서발전 자가무선망 및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이용한 발전설비 감시진단 기술’ 연구과제의 최종 발표회를 통해 한국동서발전,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센불과 2017년 10월부터 총 33개월 동안 진행된 성과를 공표했다.
한전KDN은 발전분야에 4차 산업기술을 접목하기 위해 추진 중인 디지털 발전소 구축 연구과제의 일환으로 사물인터넷(IoT) 기술개발에 참여하였으며, 특히 일반 상용망을 사용하지 않고 발전소 자체 재난 ․ 안전 통신망(DMR, Digital Mobile Radio)과 자체개발한 저전력 장거리 네트워크(LoRa) 중계장치를 이용한 융합통신망을 구축함으로써 경제성과 보안성 확보 및 재난 ․ 사고 대비 발전설비 감시에 기여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또한, 이번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압력과 반사광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배터리 교체가 필요 없는 저전력 무선 사물인터넷(IoT) 센서(진동, 온도, 가스 등 인식)를 개발하여 안전 사각지대에 위치한 발전설비에 부착함으로써 원격 상태 감시 및 진단으로 사전 장애 예측과 그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절감, 안전사고 감소 등 운영효율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전KDN 관계자는 “기존 무선 IoT의 기능개선으로 발전설비 감시범위 확대와 디지털 발전소 구축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관련 중소기업, 연구기관 등과 다각적인 기술교류를 통해 에너지ICT분야 4차 산업을 주도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하고 동반상생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한전KDN, 디지털 발전소 작업자 안전관리 및 발전설비 감시진단 기술 향상 기여
기사입력:2020-09-14 21:39:41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14.95 | ▲55.48 |
코스닥 | 784.24 | ▲5.78 |
코스피200 | 421.22 | ▲8.2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320,000 | ▼13,000 |
비트코인캐시 | 680,500 | ▼1,000 |
이더리움 | 3,551,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3,060 | ▲30 |
리플 | 3,139 | ▲1 |
퀀텀 | 2,732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305,000 | ▲60,000 |
이더리움 | 3,549,000 | 0 |
이더리움클래식 | 23,040 | ▲30 |
메탈 | 942 | ▲2 |
리스크 | 535 | ▲4 |
리플 | 3,135 | 0 |
에이다 | 801 | 0 |
스팀 | 180 | ▼0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48,320,000 | ▲140,000 |
비트코인캐시 | 679,500 | ▲1,000 |
이더리움 | 3,555,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060 | ▲50 |
리플 | 3,137 | ▼4 |
퀀텀 | 2,734 | 0 |
이오타 | 21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