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전여송 기자] 경제성을 대폭 높인 이산화탄소 제거 촉매가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이효영 부연구단장은 가시광선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산소와 일산화탄소로 변환하는 촉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가시광선으로 화학반응이 가능해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다, 연료로 변환 가능한 일산화탄소를 일반 촉매보다 200배, 기존의 가장 우수한 촉매보다 15배 많이 생산할 수 있어 수익성이 향상됐다.
20일 IBS에 따르면 ‘아타나제-루타일 이산화티타늄(TiO2)’ 은 한 해 500만 톤 이상 소비되어 자외선 차단제, 탈취·살균제 등에 쓰인다. 자외선을 흡수하면서 물과 이산화탄소를 메탄, 일산화탄소, 그리고 다량의 산소로 변환하는 촉매다. 부산물인 메탄과 일산화탄소로 연료·메탄올 등 유용한 화합물을 만들 수 있어, 이를 통해 생산 비용을 회수하는 이산화탄소 제거제를 개발하고자 지난 50년간 연구가 계속됐다.
특히 가시광선까지 흡수하는 가시광촉매는, 자외선만 흡수하는 기존 촉매보다 많은 에너지를 활용하면서 병원·지하철 등 실내에서 작동해 이산화탄소 촉매 연구의 핵심 과제로 여겨졌다.
연구진은 지난 9월 아나타제-루타일 이산화티타늄에서 아나타제 결정을 환원해, 가시광선으로 작동하는 촉매‘비결정아나타제-결정루타일 이산화티타늄’제조에 성공하고 저자 이름을 따‘이효영의 블루 이산화티타늄’으로 이름 붙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효영의 블루 이산화티타늄’을 개선해 메탄 없이 일산화탄소만 생산하는 촉매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촉매가 빛을 흡수하며 생성하는 전하의 수와 이동성을 향상시키고자 실험을 고안했다. ‘이효영의 블루 이산화티타늄’에 다른 물질을 도핑해 불균일한 구조를 만들면, 전하 생성이 증가해 광효율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진은 도핑 재료로 일산화탄소 발생률을 높일 수 있는 은을 포함해 3가지 후보 물질을 시도하고, 가장 안정적인 조합인 텅스텐산화물과 은을 도핑해 하이브리드 촉매를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하이브리드 촉매는 흡수된 빛 중 34.8%를 촉매 변환에 활용하는데, 이는 기존 촉매보다 3배 높은 광효율이다. 또 이산화탄소-산소 변환 과정에서 메탄 없이 100% 일산화탄소만 발생시켰는데, 이는 부산물을 단일화한다는 점에서 경제성이 높다. 일산화탄소 양은 기존 이산화티타늄 촉매보다 200배, 학계에 보고된 가장 우수한 촉매보다 15배 많이 발생했다. 또 기존 이산화티타늄 공정이 고온·고압의 기체를 다뤄 위험성이 큰 데 비해 상온·상압에서 액체상으로 합성해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알려졌다.
이효영 부연구단장은 “가시광선으로 작동하는 블루이산화티타늄 제조에 관한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이용해 새로운 가시광촉매를 개발했다”며 “이번에 개발한 촉매는 미세먼지와 병원 내 병원균 등을 제거하는 데에도 역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고 밝혔다. “향후 다양한 연구 분야에 적용돼 전세계에 전파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화학·재료분야 세계적인 권위지인 ‘머터리얼스 투데이(Materials Today, IF 24.372)'지에 1월3일 온라인 게재됐다.
전여송 로이슈(lawissue) 기자 arrive71@lawissue.co.kr
IBS, 형광등 빛으로 이산화탄소 제거 촉매 개발
기사입력:2020-01-20 17:45:4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3.23 | ▲49.49 |
코스닥 | 797.70 | ▲7.34 |
코스피200 | 428.42 | ▲6.4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1,220,000 | ▲205,000 |
비트코인캐시 | 700,500 | ▼1,500 |
이더리움 | 3,783,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080 | ▲90 |
리플 | 3,328 | ▲23 |
퀀텀 | 2,870 | ▲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1,320,000 | ▲206,000 |
이더리움 | 3,786,000 | ▲11,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00 | ▲110 |
메탈 | 970 | ▼0 |
리스크 | 548 | ▲2 |
리플 | 3,331 | ▲23 |
에이다 | 859 | ▲5 |
스팀 | 184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1,310,000 | ▲190,000 |
비트코인캐시 | 701,500 | ▼500 |
이더리움 | 3,785,000 | ▲8,000 |
이더리움클래식 | 24,170 | ▲100 |
리플 | 3,328 | ▲21 |
퀀텀 | 2,860 | 0 |
이오타 | 237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