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JB금융지주(175330, 회장 김기홍)는 2019년 3분기 연결 누적기준 3,091억원(지배지분 2,942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고 발표하였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8.2%(지배지분 39.5%) 증가한 실적으로, 3분기 중 및 3분기 누적 기준 사상 최대 규모의 실적을 경신하였다.
계열사 간 협업 강화를 통해 그룹의 균형 있는 수익구조가 정착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 둔화로 인한 금리인하 기조 등 어려운 금융환경 하에서도 안정적인 성장 및 수익성 위주의 내실경영 정책을 바탕으로 양호한 실적을 시현하였다.
또한, 자산건전성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경기둔화가 지속될 가능성에 대비하여 보수적인 충당금 적립정책을 시행하여 충당금 적립 비율을 높이는 등 경기둔화 리스크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하였다.
그룹의 자회사인 전북은행(별도기준)은 전년동기대비 9.6% 증가한 95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하여 그룹의 이익 증가세를 견인하였으며, 광주은행(별도기준)은 전년동기대비 1.2% 소폭 감소한 1,39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달성, 안정적인 이익흐름을 이어갔다. JB우리캐피탈(연결기준) 또한 자산건전성이 개선된 것에 힘입어 전년동기대비 4.4% 증가한 65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하였다.
주요 경영지표 부문에서는 지배지분 ROE 11.8% 및 그룹 연결 ROA 0.88%의 업종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달성하였고, 자산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전년동기대비 0.09%p 개선된 0.83%, 연체율은 전년동기대비 0.18%p 개선된 0.75%를 달성하였다. 대손비용율(그룹 기준) 역시 전년동기대비 0.05%p 개선된 0.38%를 기록하여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2019년 3분기 말 기준 자본적정성 지표인 그룹의 보통주자본비율(잠정)은 9.83%, BIS비율(잠정)은 13.39%를 달성하여 전년동기대비 각각 0.81%p 및 0.47%p 개선되었다. 금융당국에서 요구하는 보통주자본비율 9.5% 수준을 초과 달성하여, 향후 보다 적극적인 주주환원정책 및 내실성장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열린 자세로 시장과 소통하고자 직접 그룹 실적발표회에 참석한 JB금융지주 김기홍 회장은 “경기 둔화와 저금리 추세에 따라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JB금융만의 차별화 전략을 계속 추구함으로써, 현 수준의 수익성을 유지하며 지속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것에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편도욱 로이슈 기자 toy1000@hanmail.net
JB금융그룹, 2019년 3분기 순이익 3,091억원 시현
기사입력:2019-10-31 16:16:02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202.03 | ▲26.26 |
코스닥 | 799.37 | ▼1.10 |
코스피200 | 432.49 | ▲4.42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6,555,000 | ▲729,000 |
비트코인캐시 | 706,000 | ▲11,000 |
이더리움 | 4,127,000 | ▲1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830 | ▲120 |
리플 | 4,003 | ▲28 |
퀀텀 | 3,177 | ▲8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6,471,000 | ▲580,000 |
이더리움 | 4,123,000 | ▲12,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800 | ▲90 |
메탈 | 1,088 | ▲12 |
리스크 | 607 | ▲1 |
리플 | 3,995 | ▲24 |
에이다 | 1,029 | ▲10 |
스팀 | 201 | ▲3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6,600,000 | ▲660,000 |
비트코인캐시 | 705,500 | ▲9,500 |
이더리움 | 4,128,000 | ▲19,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880 | ▲170 |
리플 | 4,004 | ▲29 |
퀀텀 | 3,185 | ▲30 |
이오타 | 31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