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 편도욱 기자] 2017년 서울시내 신축 입주아파트 가격이 분양가보다 평균 2억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윤영일 의원(국민의당, 전남 해남ㆍ완도ㆍ진도)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서울시내 100세대 이상 신축 입주아파트는 총 12개 단지로 이들 단지는 2013년 11월에서 2015년 10월 사이에 분양하였다.
분양면적 84㎡(24평) ~ 113㎡(34평) 기준 상승폭은 강남구 대치동 대치SK뷰(25평)가 3억 3,000만원(평균분양가 13억원 → 현재시세 16억 3,0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서초구 서초동 래미안서초에스티지(33평) 2억 7,000만원(평균분양가 10억 5,000만원 → 현재시세 13억 2,000만원), 서초구 서초동 푸르지오써밋(24평) 2억 7,000만원(평균분양가 8억원 → 현재시세 10억 7,000만원), 강동구 천호동 래미안강동팰리스(32평) 2억 5,000만원(평균분양가 6억원 → 현재시세 8억 5,000만원), 강서구 마곡동 마곡13단지(34평) 2억 4,000만원(평균분양가 5억 3,000만원 → 현재시세 7억 7,000만원) 순이다.
2017년 입주단지 중 래미안강동팰리스(강동구 천호동) 32평, 보문파크뷰자이(성북구 보문동) 34평, 돈암코오롱하늘채(성북구 돈암동) 34평의 경우 현재 전세가격이 분양가격보다 같거나 추월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보문파크뷰자이(성북구 보문동) 34평 81.8%, 돈암코오롱하늘채(성북구 돈암동) 34평 80.8%, 아현아이파크(마포구 아현동) 33평 80.4%로 ‘깡통주택’ 위험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일반적으로 주택담보대출과 전세금을 합한 금액이 집값의 70~80%를 수준이면 깡통주택으로 본다.
2017년 8월 기준 서울의 전세가율은 평균 70.8%(강북73.5%, 강남68.6%), 2017년 신축입주아파트의 경우에는 72.6% 수준이다.
편도욱 기자 toy1000@lawissue.co.kr
대치SK뷰 3억3000만원 올랐다
래미안서초에스티지·서초푸르지오써밋 2억7000만원, 래미안강동팰리스 2억5000만원 상승 기사입력:2017-10-24 08:44:43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83.23 | ▲49.49 |
코스닥 | 797.70 | ▲7.34 |
코스피200 | 428.42 | ▲6.40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0,795,000 | ▼69,000 |
비트코인캐시 | 686,500 | ▼13,000 |
이더리움 | 3,764,000 | ▼2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770 | ▼230 |
리플 | 3,301 | ▼21 |
퀀텀 | 2,855 | ▼14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0,800,000 | ▼90,000 |
이더리움 | 3,761,000 | ▼26,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10 | ▼190 |
메탈 | 966 | ▼7 |
리스크 | 546 | 0 |
리플 | 3,302 | ▼19 |
에이다 | 847 | ▼7 |
스팀 | 182 | ▼2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50,910,000 | 0 |
비트코인캐시 | 686,500 | ▼13,500 |
이더리움 | 3,764,000 | ▼25,000 |
이더리움클래식 | 23,810 | ▼160 |
리플 | 3,301 | ▼21 |
퀀텀 | 2,858 | 0 |
이오타 | 23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