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 사용률, 직종별로 차이…‘여성 근로자 경력단절 우려’

기사입력:2016-07-12 11:57:58
[로이슈 위현량 기자] 첫아이 출산 후 육아휴직 사용률이 직장 유형별로 큰 차이가 있다.

12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11년 이후 첫 출산을 한 15~49살 직장 여성 78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공무원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75%인 반면 일반 회사에 다니는 근로자는 35%에 불과했다.
(사진=‘MBN 뉴스’방송화면 캡처)

(사진=‘MBN 뉴스’방송화면 캡처)

이미지 확대보기
또한 상용 근로자 47%가 육아휴직을 사용한 데 반해, 임시ㆍ일용직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사용한 경우는 2%에 그쳤다.

출산 후 직장생활을 계속한 여성 중 육아휴직을 사용한 비율은 67.1%였지만, 출산 후 직장을 그만둔 여성 가운데 육아휴직을 사용한 비율은 2.2%에 그쳐 육아휴직이 여성 근로자의 경력 단절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박종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의 말에 따르면 “출산 전후 휴가가 법정 의무화됐음에도 직장의 유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며 “공무원이나 고용의 안정성이 잘 보장되는 직장에서만 제도 이용률이 높았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고용안정성이 좋지 않은 일자리 종사자의 육아휴직 경험률은 크게 떨어졌다”고 언급했다.

위현량 기자

주식시황 〉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380,000 ▲281,000
비트코인캐시 687,000 ▲2,500
이더리움 4,049,000 ▲30,000
이더리움클래식 24,990 ▲200
리플 3,820 ▲47
퀀텀 3,122 ▲3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299,000 ▲199,000
이더리움 4,049,000 ▲31,000
이더리움클래식 25,010 ▲210
메탈 1,066 ▲12
리스크 601 ▲6
리플 3,820 ▲45
에이다 1,001 ▲15
스팀 195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450,000 ▲330,000
비트코인캐시 687,500 ▲3,000
이더리움 4,044,000 ▲24,000
이더리움클래식 24,980 ▲140
리플 3,822 ▲47
퀀텀 3,116 ▲3
이오타 279 ▲5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