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슈=김진호 기자]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현병철)는 보호관찰소 직원들이 구인장 발부대상자를 체포해 법원의 유치허가 결정이 나기 전까지 임시로 보호하는 동안 일률적으로 수갑과 포승 장구를 사용하고, 휴대폰을 압수해 보관하는 관행은 인권침해라고 판단했다.
이에 인권위는 4일 지도ㆍ감독기관인 법무부에 시정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인권위에 따르면 진정인 A(62)씨는 도로교통법 등 위반으로 집행유예와 사회봉사명령 등을 선고받았다.
그런데 A씨는 “사회봉사명령을 이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구인장이 발부돼 B보호관찰소 소속 직원 2명에게 체포돼 보호관찰소 사무실에서 수갑과 포승으로 약 5시간 동안 강박됐고, 또한 휴대폰을 압수당했다”며 2013년 11월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했다.
인권위 조사결과, 피진정인들(보호관찰소 직원)이 보호 장구를 사용한 이유는 진정인이 특별히 항거하거나 자해 위험 등이 있기 때문은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대부분 보호관찰소에서는 구인대상자를 보호하는 동안 통상적으로 수갑과 포승을 사용해 강박하고, 휴대폰을 자발적으로 제출하도록 해 보관 후, 유치시설 담당자에게 인계하는 관행이 있었다.
이에 대해 감독기관인 법무부는 “연행된 피구인자를 구치소 등에 유치하기 위해 관할 법원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판사의 결정이 있기 전까지 유치시설이 없는 보호관찰소에서 피구인자가 도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이며, 휴대폰 압수는 지인과의 통화를 통한 도주 방지, 원활한 조사업무 진행 등을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 제45조의2는 보호관찰관은 피구인자의 도주방지, 항거억제, 자기 또는 타인에 대한 위해방지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상당한 이유가 있으면 수갑, 포승 등 보호 장구를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면 지체 없이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인권위는 “법률상 보호 장구는 도주 위험성 등이 분명하고 구체적으로 드러난 상황에서 예외적으로 필요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허용되는 것”이라며 “진정인이 검거나 인치 과정에서 별다른 저항을 하지 않았음에도 관행에 따라 유치를 집행하기 전까지 5시간 동안 수갑과 포승을 사용한 것은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이 정한 보호 장구의 사용 요건과 범위를 넘어서 헌법이 보장하는 진정인의 신체의 자유를 침해한 행위”로 판단했다.
이에 따라 인권위는 보호관찰소의 지도ㆍ감독기관인 법무부장관에게 모든 피구인자에 대해 일률적으로 보호 장구를 사용하는 관행을 개선하고, 별도 조사실 구축 등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여 시행할 것을 권고했다.
또 인권위는 피구인자를 보호관찰소로 데려온 후 휴대폰을 영치하는 행위는 뚜렷한 법률적 근거가 없으며, 법무부 내부지침인 ‘보호관찰 대상자 지도감독 지침’ 제150조에 따라 대상자에게서 압수할 수 있는 도주, 자해, 공무집행 방해 용도로 쓰일 가능성이 높은 흉기 등의 소지품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려워 헌법 제18조가 정한 통신의 자유를 침해한 행위로 판단, 법무부 장관에게 관행 개선을 권고했다고 밝혔다.
인권위 “보호관찰소 구인대상자 수갑ㆍ포승, 휴대폰 압수 관행 인권침해”
전국 보호관찰소 지도ㆍ감독기관인 법무부에 시정 권고 기사입력:2014-08-04 10:03:06
<저작권자 © 로이슈,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로이슈가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 독자는 친근하게 접근할 권리와 정정ㆍ반론ㆍ추후 보도를 청구 할 권리가 있습니다.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메일:law@lawissue.co.kr / 전화번호:02-6925-0217
주요뉴스
핫포커스
투데이 이슈
투데이 판결 〉
베스트클릭 〉
주식시황 〉
항목 | 현재가 | 전일대비 |
---|---|---|
코스피 | 3,175.77 | ▼7.46 |
코스닥 | 800.47 | ▲2.77 |
코스피200 | 428.07 | ▼0.35 |
가상화폐 시세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919,000 | ▲221,000 |
비트코인캐시 | 688,000 | ▲1,500 |
이더리움 | 4,046,000 | ▲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090 | ▼30 |
리플 | 3,859 | ▼16 |
퀀텀 | 3,143 | ▲7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842,000 | ▲118,000 |
이더리움 | 4,049,000 | ▲7,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100 | ▼80 |
메탈 | 1,075 | ▼1 |
리스크 | 601 | ▼1 |
리플 | 3,852 | ▼19 |
에이다 | 1,009 | ▼1 |
스팀 | 198 | ▼1 |
암호화폐 | 현재가 | 기준대비 |
---|---|---|
비트코인 | 160,840,000 | ▲150,000 |
비트코인캐시 | 686,000 | ▼1,000 |
이더리움 | 4,056,000 | ▲14,000 |
이더리움클래식 | 25,040 | ▲120 |
리플 | 3,844 | ▼15 |
퀀텀 | 3,147 | ▲10 |
이오타 | 296 | 0 |